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초고성능 국가 데이터 네트워크, KREONET

총 게시글 240 RSS
  • 5G포럼 5G오픈플랫폼WG 2월 정례회의 참석 후기 2023. 03. 20 View. 32101

    5G포럼은 2013년 설립되었으며, 사무국은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KANI)에서 맡고 있다. 5G포럼 산하의 5G오픈플랫폼WG은 ETRI 류호용 책임이 WG장을 맡아 2020년 10월부터 활동을 시작하여, 2021년까지는 5G국가망에 적합한 오픈플랫폼 개념모델 제시 및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활동하였으나, COVID-19의 여파로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다. 이후 TTA 박선례 수석이 WG장을 이어받아, 2022년 10월부터 5G특화망(이음5G) 활성화 전략을 목표로 활동을 재개하여, 매월 전문가 세미나 및 관계자 의견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참석 인원은 박선례(TTA, WG장), 류호용(ETRI), 이승훈(방송통신전파진흥원), 김병수(노키아), 김재서(삼성전자), 김기욱(KISTI) 등이며, 회의 주제에 따라 통신사(SKT, KT)나 클라우드 사업자(AWS) 등의 전문가가 게스트로 참여하고 있다. KISTI는 5G특화연구망의 성공적인 기획 및 설계를 위해 5G오픈플랫폼WG과 연계하여 5G특화망 관련 주파수 정책 의견 제시 및 산업계 동향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 기상수치예보를 위한 공군기상단-KREONET 협력 회의 개최 2023. 03. 20 View. 32770

    2월 20일 KISTI 회의실에서는 KISTI와 공군기상단이 기상수치예보를 위한 고성능 KREONET 활용 방안 및 향후 보안을 위한 양자암호통신 적용을 위한 협력 회의를 가졌다. KISTI와 공군 기상단은 1999년부터 협력해 왔으며(KISTI-공군 기상전산망 최초연동), 현재 국내는 물론 전세계로부터 전지구모델(GFS, ECMWG, KIM등)에 대하여 KISTI 국가슈퍼컴, 기상청 슈퍼컴, 공군수치예보슈퍼컴 등과의 협력을 위해 하루 148GB 이상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향후 지금의 10배 이상인 1.4TB 이상의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고 있어, 과학기술연구망과의 협업이 더욱더 중요한 상황이다. 또한 24년도 국방 ICT R&D 사업에 있어 KISTI – 공군기상단 간 보안 강화를 위한 유선기반 양자암호통신체계 구축 등 양자암호통신분야에 대하여 KISTI/KREONET과 관련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 2023년 1차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실무자협의회 운영회의 개최 2023. 03. 20 View. 30262

    2023년 2월 16일(목)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본원) 1층 국제회의실에서 2023년 1차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실무자협의회 운영회의 개최하였다. 본 운영회의를 통하여 2023년도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주요사업 추진내용을 공유하는 한편, 2023년도에 추진될 과학기술연구망 실무자협의회 외부일정과 다양한 의견을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다.   특히, 2023년~2024년, 2년간 활동하게 된 KREONET 실무자협의회 32명의 위원에 대한 위촉장 수여와 함께, 윤태진 실무자협의회 의장에게는 KREONET 발전에 공헌한 바에 대하여 공로패가 전달하였다.   본 회의를 통하여 KREONET 실무자의 관심분야를 반영한 2023년 KREONET 실무자협의회 활동 계획에 대한 협의하였다. 또한 KREONET 실무자협의회에서는 올해 2023년 상/하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 워크숍을 비롯한 KREONET 실무자협의회 특성화별 그룹 워크숍 등의 행사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 2023년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대회 KREONET 특별세션 개최 2023. 03. 20 View. 29737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2월 8일부터 10일까지 진행된 2023년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에서 고성능 네트워킹을 주제로 KREONET 특별 세션을 개최하였다. 본 세션에서는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연구원들의 총 7편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발표 주제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연구 주제는 각 각, 디지털 인프라 중심의 연구망 구조 디자인, Improving scores of the NetHack Challenge by leveraging transformer architecture, A fine-grained and high-performance telemetry system for R&E Network, 컨테이너 기반 분산 컴퓨팅 환경 컨트롤러 개발, KREONET-S의 지능적 네트워크 자원 및 전력 관리를 위한 강화학습 알고리즘 적용 및 검증 모델, 고객만족도 조사 분석을 통한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VOC 분석, 60GHz 무선통신기술 기반의 중거리 무선백본 연구 등이다. 본 특별 세션은 과학기술연구망의 네트워크 및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다양한 주제별 연구 및 엔지니어링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추진 방향을 점검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되었다.    

  • 2023년 상반기 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지역망센터 정기점검 2023. 03. 20 View. 29174

    국가 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은 ‘23년 2월 2일부터 3월3일까지 한 달간 과학기술연구망의 안정적인 운영 및 장애 예방을 위해 17개 국내망 지역망센터 정기 점검을 수행하였다. 특히 이번 점검은 ’23년 테라급 과학기술연구망 고도화를 위한 현장 실사를 함께 수행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백본 마이그레이션 작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정기 점검은 지역망센터 백본 장비 및 운영 환경에 대한 육안 점검(전원, 기반시설 등),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장애대응체계 정비(담당자 협력 강화),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주요 서비스 시스템 점검(성능, 원격제어 시스템 등)을 수행하며 이를 기반으로 장애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고 장애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번 점검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과학기술연구망 운영을 위한 운영체계 및 전략을 수립하여 더욱 안정적인 연구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 HSN 2023 (행사주제: 가상세계와 현실의 연결 고리, 네트워크“) 참석 후기 2023. 03. 20 View. 28214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최신 네트워크 기술 동향 파악 및 연구교류를 위하여 2023년 2월 1일부터 3일 까지 개최한 HSN(High Speed Network) 2023에 참가하였다. 본 행사는 “가상세계와 현실의 연결고리, 네트워크”라는 주제로 개최되었으며, 메타버스 등의 가상세계와 현실을 연결하는 기술로써의 5G/6G 무선 네트워크 신기술 및 서비스, 메타버스/디지털트윈 기술 및 정책, 우주/항공 네트워크 기술, SW/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크 신기술, Web 3.0/탈중앙화 기술 등 네트워크 분야의 첨단 기술 및 서비스 개발 현황에 대한 발표 및 소개가 있었다. 특히, 5G vertical service와 기술 개발 사례를 통해 KREONET 사용자의 무선 네트워크 요구사항을 고려한 5G 특화망 구축 및 서비스 개발 계획이 논의 되었으며, 서비스 중단에 민감한 운용 중 네트워크에서 메타버스/디지털트윈 기술을 통해 안정적으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 및 운용할 수 있는 방안이 활발히 협의 되었다.     

  • [안내] 2023년 상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 개최 2023. 03. 09 View. 4550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서는 최신 네트워킹 및 미래 연구망 기술동향, 사용자 네트워크 활용 사례에 관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토론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실무자가 참여하는 '2023년 상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을 개최하오니 회원기관 여러분들의 많은 참석을 요청드립니다.등록 안내 : KREONET 홈페이지 - 알림마당 - 행사안내 - 진행중인 행사등록기간 : 3월 9일 ~ 23일까지 온라인 신청>>> 등록 바로가기 <<<   

  • [한국통신학회] ICT Convergence Korea 2023 (사전등록: ~2월 28일... 2023. 02. 22 View. 26233

    [ ICT Convergence Korea 2023 사전등록 바로가기 ]  

  • APAN 55th ( AISA PACIFIC ADVANCED NETWORK MEETING)... 2023. 02. 22 View. 25335

    Dear All APAN55 will be organised in person from the 13th - 17th of March 2023 with the Local Organizing Committee being APAN-NEPAL in Kathmandu, Nepal. We are less than a month away from the event.  Please browse Registration – APAN55 for more information on the agenda, accommodation and the registration link. Hoping to see you soon, physically in Kathmandu! Should you face any issues please do not hesitate to contact sec@apan.net

  •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조직 개편, 연구망기술고도화팀 신설 2023. 02. 22 View. 25554

    과학기술연구망센터(센터장: 조부승)는 2023년 1월 25일 부로 기존 양자&차세대연구망팀을 개편하여, 연구망기술고도화팀(팀장: 김동균)을 신설하였다. 이로써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기존 연구망서비스팀(팀장: 김승해)과 신설된 연구망기술고도화팀으로, 즉 2개팀 체제로 개편이 이루어졌다.   연구망기술고도화팀은 과학기술연구망의 기술 선도와 첨단화를 견인하기 위해 조직이다. 첫 번째 역할은 과학기술연구망센터가 올해부터 추진하는 새로운 중점 사업인 국가 대용량 데이터 교환노드 개발 및 구축을 위해서 핵심 인프라 설계와 구축·운영을 수행하는 한편, SDX, NG-SDN 등의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가 대용량 데이터 교환노드 활용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연구망 이용자들을 위한 연구 데이터 전송 성능과 국가 데이터 활용율을 향상시키고, 글로벌 기술경쟁 시대에 대비할 수 있도록 초고성능 데이터 교환 기술의 선제적 확보와 데이터 기반 융복합 서비스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 연구망기술고도화팀은 5G+ 특화연구망 클러스터 구축개발 기획사업의 지원과 5G 기반 대전형 융합 신산업 창출 특구기술 실증 선도사업의 수행을 통해서, 과학기술연구망의 소프트웨어 중심 5G+ 첨단 유무선 통합망 구축 및 고도화를 실현할 계획이다. 5G 및 B5G 기술은 과학기술연구망의 차세대 과학기술 디지털 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수적이며, 고도화팀은 주로 첨단무선망 제어 기술(RIC),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경량화/지능화 5G 코어 기술, SDN 기반 유무선 통합 제어기술 등의 연구 개발을 중점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향후 연구망기술고도화팀은 과학기술연구망의 비전과 방향에 부합하도록 연구망 이용기관 및 실무자/운영자, 국내외 협력 기관, 글로벌 연구망 파트너 등과 긴밀한 협조를 바탕으로 주요 업무를 추진해 나가고자 하며, 과학기술연구망의 기술 및 서비스 고도화와 첨단화를 이루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