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메일링을 신청하시면 KREONET의 동향 및 연구현황,
활용기관 여러분들의 소식을 이메일로 빠르게 만날 수 있습니다.
-
2022년 9호
2022.12
계묘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KISTI 이슈브리프 발간, "신뢰 및 신원 관리 기술의 동향: 연구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GLORIAD) 국제 백본 1단계 구축 완료 2022년 미래 사이버 융합연구를 위한 광기반 혁신적 네트워크 융합 클러스터 워크숍 개최 2022년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워크숍 개최 2023년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 KREONET 특별세션 개최 예정 2023년 과학기술연구망 무료 교육 프로그램(고성능 네트워킹 및 양자암호통신 기술) 안내 2023년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과학기술연구망의 첨단 네트워킹 기술과 양자암호통신 기술에 대한 교육을 무료로 실시합니다. 본 교육 과정에서는 고성능 네트워킹 및 양자암호통신과 관련하여 1)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화된 네트워크 설계 기법(ScienceDMZ), 네트워크 성능 모니터링 시스템(perfSONAR), 전용 고속 데이터 전송 시스템(DTN), 2) 고성능 데이터 전송 툴(Globus)을 이용한 고속전송 환경구축 및 활용 방법, 3)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기술의 개념과 인프라 구축 및 응용기술, 4) 신뢰 기반 디지털 ID 관리 기술, 5) 양자암호통신을 위한 양자정보 이론 기초, 6) 양자키분배(QKD) 프로토콜과 구현 기술, 양자키관리 표준화 동향 및 구축기술 등의 다양한 주제들을 폭넓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더보기 >2023년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공모 및 선정 안내 -
2022년 8호
2022.11
KISTI 과학기술연구망, SCinet Spirit of Innovation Award 수상 초고성능컴퓨팅 및 연구망 기술 교류를 위한 SC22 슈퍼컴퓨팅 컨퍼런스 참가 2022년도 KREONET 실무자협의회 실무위원 Workshop 개최 KISTI 이슈브리프 발간: 포스트 퀀텀 시대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KREONET 광섬유 기반 지진파 탐지에 대한 NST 창의 융합클러스터 킥오프 워크숍 개최 The 6th Asian Tier Center Forum (ATCF6) 참가 2023년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안내 Single Photon Workshop 2022 행사 참가 -
2022년 7호
2022.10.
"KREONET Workshop 2022" 개최 KSC 2022 양자암호통신망 구축을 위한 요소 기술 연구개발 현황 워크숍 개최 KISTI/KREONET, '5G 특화망 핵심기술' 신기술 인증 획득 5G+ 플랫폼 구축을 위한 2022년 대전형 융합 신산업 창출 특구기술 실증 선도사업 선정 광섬유 기반 지진파 탐지에 대한 NST 창의 융합클러스터 사업 시작 Quantum Risk 대응을 위한 Quantum Security (2022 양자보안연구회 하반기 워크숍 추진) -
2022년 6호
2022.08
"KREONET Workshop 2022" 개최 안내 2022년 2회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지역망센터 운영위원회 개최 KREONET 35년 기념 원로 인터뷰 진행 후기 제1회 SCION/ETH Zürich – KREONET/KISTI 국제협력 세미나 개최 KREONET 핵융합 거대연구분야 Focus Group 미팅 KREONET 바이오유전체 거대연구분야 Focus Group 미팅 APAN 25주년 기념 APAN 54회 미팅(@Jinan, China), KREONET 성과 발표 TEIN*CC & KREONET 협력미팅 개최 -
2022년 5호
2022.07
KISTI‧KREN‧KAUIC, 대학의 디지털 혁신 위해 협력한다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 네덜란드 연구망과 협력 강화 KISTI, 드림시큐리티에 양자암호통신망 표준 기반 양자 키 관리 기술 이전 ‘KREONET Globus 서비스 활용 가이드’ 발간 KREONET Workshop 2022 개최 안내 -
2022년 4호
2022.06
2022년 하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 개최 고성능 네트워킹 및 양자암호통신 교육 신설 및 개시 유럽 연구망 컨퍼런스 TNC22를 통한 연구망 협력 강화 KISTI 주관 KRnet2022 BoF 세션, KR 네트워크 운영자 모임 개최 양자통신-양자보안 조인트 워크숍 개최 및 기술교류회 추진 -
2022년 3호
2022.05
[인터뷰] KREONET 꿈의 에너지 핵융합을 실현하다. ‘2022년 첨단망 연구지원 우수성과 사례집’ 발간 ‘2022 KREONET 브로슈어’ 발간 2022년 하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 개최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서는 연구망 실무자가 참여하여 최신 네트워크 및 사용자 활용사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토론의 장을 마련하는 ‘2022년 하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을 2022년 6월 30일(목) ~ 7월 1일(금), 부산 해운대 한화리조트에서 개최합니다.
더보기 >6월 21일 ~ 6월 23일, ‘고성능 네트워킹과 양자암호통신’ 오프라인 무료 교육 실시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KISTI 데이터스쿨의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6월 21일부터 6월 23일까지 3일간 고성능 네트워킹과 양자암호통신에 대한 오프라인 교육을 실시합니다.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화된 네트워크 설계 기법(ScienceDMZ), 네트워크 모니터링 툴(perfSONAR), 전용 데이터 전송 시스템(DTN), 고성능 데이터 전송 툴(Globus)을 이용한 고속 전송 환경구축 및 활용 방법,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기술의 개념과 인프라 구축 및 응용기술, 신뢰 기반 디지털 ID 관리 기술(KAFE), 양자암호통신 동작 이론 및 기술에 대한 기본 과정에 대한 무료 교육 강좌를 개설하였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더보기 >The 30th Korea Internet Conference (KRnet 2022) 개최 -
2022년 2호
2022.04
KISTI, 세계 최초의 안전한 글로벌 연구 코어망 구축 및 개발 협력 시작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스위스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ETH Zurich, 이하 취리히연방공대)와 차세대 인터넷 아키텍처인 SCION 기술을 통해 기존 IP 및 BGP 기반의 인터넷 문제점을 극복한 세계 최초의 안전한 글로벌 연구 코어망을 구축 및 개발하기 위해 4월 4일 온라인으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다. 더보기 > KREONET, 아시아 빅데이터 고속도로 기반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 사업 추진 올해 4월 1일부터 KREONET은 분산 고성능 컴퓨팅 자원의 아시아 개발도상국 원격 제공 사업인 아시아 커넥트(Asi@Connect/TEIN*CC, 사업명: Building a high bandwidth distributed HPC)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어, 호주, 말레이시아, 파키스탄과 함께 국제연구망 슈퍼하이웨이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더보기 > KREONET 천문우주분야 KVN(한국우주전파관측망) 거대연구 전문가 포커스 그룹 미팅 4월 26일 KREONET의 천문우주분야 대표적인 거대연구인 KVN(한국우주전파관측망)에 대한 전문가 포커스 그룹 미팅이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에서 개최되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원구원 과학기술연구망센터, 한국천문연구원 KVN그룹, 서울대학교 천문학과에서 한자리에 모여, 한국천문연구원의 4번째 전파천문대가 건설되고 있는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에서 건설 현장 방문은 물론 향후 KREONET을 통한 Next Generation EHT 관측을 포함한 대형 관측 연구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였다. 더보기 > 농업 빅데이터 및 활용 모델 통합 연계 체계 개발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 KREONET에서는 4월 1일 부터 농촌진흥청에서 제안한 농업 빅데이터 수집 및 생산성 향상 모델 개발 과제 사업을 추진한다. 주관기관은 서울대 농대이고 공동연구기관으로 KISTI가 참여하는 사업으로 진행된다. 더보기 > KREONET Workshop 2022(KREONET 35주년) 발표자 모집 KREONET에서는 35주년 기념 워크숍을 주제발표자를 공개로 모집하려 합니다. 첨단 네트워킹 기술, 연구망 활용 사례를 포함하여 연구망 워크숍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주제(자유주제) 및 연구망 35주년을 기념할 주제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발표자를 모집합니다. 선정된 발표자에게는 워크숍 공식 초청, 발표 기회 제공 등 다양한 해택이 주어집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 더보기 > -
2022년 1호
2022.03
2022년 상반기 KREONET 실무자 협의회 Workshop 개최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실무자가 참여하는 ‘2022년 상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 개최를 통해 「최신 네트워킹 및 미래 연구망 기술동향사용자 네트워크 활용 사례」에 관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토론의 장 마련하려 합니다. 이번 워크숍은 2022년 3월 31일(목) ~ 4월 1일(금) 2일간 소노벨리조트 변산에서 개최 됩니다. 다양한 기술세션으로 준비된 이번 워크숍에 KREONET 실무자분들의 많은 참석을 바랍니다. 더보기 > 2022년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첨단망 연구지원 대상기관 공모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서는 우수한 과학기술 개발과 첨단연구 수행의 네트워킹 협업을 지원하기 위해 '2022년 첨단망 연구지원 대상기관’을 공모하여 선정하고자 합니다. 본 프로그램은 첨단연구기관(대학, 연구소)을 대상으로 국내/국제간 협업 연구 환경에 필요한 기가급 연구전용망 자원 및 활용 기술 지원을 목적으로 합니다. 더보기 > 연구협업의 문을 여는 안전한 열쇠, KAFE KAFE(Korean Access Federation/카페)는 신뢰에 기반한 글로벌 사용자인증 협의체입니다.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은 2016년부터 KAFE 회원기관을 대상으로 T&I(Trust & Identity/ID 페더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2년 현재, 26개의 학·연 기관과 58개의 연계서비스 등 총 84개의 참여개체(ID 제공자 및 서비스제공자)를 갖는 ID 페더레이션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이는 세계 76개 ID 페더레이션 중 27위에 해당하는 서비스 규모입니다. 더보기 > 광통신소자 전문 기업 ㈜우리로 연구소 방문 및 양자암호통신 개발 협력 논의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양자&차세대연구망팀과 분당서울대병원 김도원 교수 연구팀은 지난 2월 24일, 광주에 위치한 ㈜우리로의 연구소를 방문하여 상용 양자암호통신 장비의 필수 요소인 단일광자검출소자(SPAD)의 개발 공정을 참관하고 solid-sate photomultipliers(SSPM) 센서의 시간분해 성능 시험에 참여하였습니다. 더보기 > 2022년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 "KREONET 특별세션" 진행 2022년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 'KREONET 특별세션'이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연구자들 참석 하에 2월 9일(수) 진행되었습니다. 해당 행사는 과학기술연구망 운영관리 기술과 양자암호통신 기술 관련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더보기 > KREONET Workshop 2022(KREONET 35주년) 발표자 모집 KREONET에서는 35주년 기념 워크숍을 주제발표자를 공개로 모집하려 합니다. 첨단 네트워킹 기술, 연구망 활용 사례를 포함하여 연구망 워크숍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주제(자유주제) 및 연구망 35주년을 기념할 주제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발표자를 모집합니다. 선정된 발표자에게는 워크숍 공식 초청, 발표 기회 제공 등 다양한 해택이 주어집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 더보기 > -
2021년 2호
2021.11
새로운 도약, KREONET 국가과학기술연구망사업을 주관하는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조직이 새로이 개편되었습니다. 신임 김재수 원장 취임 후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이혁로 본부장) 내 과학기술연구망센터(조부승 센터장)로 조직이 개편되었습니다.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연구망 인프라 운영 및 서비스, 연구망사무국을 담당하는 연구망서비스팀(김승해 팀장)과 양자암호통신기술 개발을 담당하는 양자&차세대연구망팀(이원혁 팀장)으로 조직되었습니다.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은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전환 시대, 빅데이터 기반의 거대연구로의 연구 패러다임의 전환에 맞추어 과학기술의 혁신, 새로운 과학적 발견에 기여하는 글로벌 리더쉽을 갖춘 국가과학기술연구망으로 도약하겠습니다. 더보기 >아시아태평양, 오세아니아 글로벌 연구망 컨소시엄 APOnet (Asia Pacific Oceania network) 결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17일 한국,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6개국이 함께 참여하는 아시아·태평양·오세아니아 지역 글로벌 연구망 협의체(APOnet) 구성을 위한 다자간 양해각서(MOU)를 온라인으로 체결하고 본격적 운영을 시작한다.
이번에 구성한 APOnet (Asia Pacific Oceania Network)은 아시아·태평양은 물론 오세아니아 지역의 100기가급 국제 연구망을 상호 연동함으로써 오세아니아 지역의 대용량 연구데이터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연구기관으로 초고속 전송이 가능하게 하고, 상호 백업을 통하여 국제 연구망 서비스의 가용성을 극대화한다. 또한 참가 국가들의 연구망 간 협력 증진을 통해 다양한 국제 응용 개발 및 지원을 모색한다. 더보기 >세계최초 시간과 공간 측정 정밀도 100배 향상을 위해 대학ㆍ연구소ㆍ정부가 머리를 맞댄다.(국제단위계(SI)‘초(Second)’재정의 등 시공간 융복합 연구 협력 양해각서 체결)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사공호상), 한국과학기술원(총장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영득), 한국표준과학연구원(원장 박현민)은 11월 24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시공간(視空間, Space-Time) 융복합 연구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다.
5개 기관은 ▲각 기관이 보유한 주요 연구장비의 공동활용 ▲시공간 극한 정밀도 측정 연구 ▲연구데이터 생산, 전송, 분석, 활용 및 국제공동연구 ▲기타 공동 관심분야의 융복합 협력분야를 발굴ㆍ추진하고 상호 협력하기로 하였다.
특히, 이번 협력을 통해 국제표준시인 세계협정시(UTC) 결정과 ‘초(初, Second)’의 재정의(再定義)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나라에서 해당 분야 연구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국내기관 간 융합연구 협력을 추진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운영하고 있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을 기반으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개발한 이터븀(Ytterbium) 광시계, 한국과학기술원 광주파수빗(optical frequency comb) 기술, 한국천문연구원의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과 국토지리정보원 우주측지관측센터 전파망원경이 결합된 VLBI를 활용해 세계최초 시공간 측정 정밀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융합연구를 수행한다. 더보기 >KREONET, 국가 위성 지상 네트워크, 양자암호 기반 차세대 연구망으로 구축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연구망센터(센터장 조부승, 이하 KISTI)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센터장 정대원, 이하 KARI)은 26일 KISTI에서 국가 위성 지상네트워크 구축 및 차세대 연구망 기술적용 협력을 위한 업무협력 협정을 10월 29일 체결했다.
양 기관은 KARI의 국가 위성 지상네트워크 구축 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KISTI의 양자암호통신망 테스트베드 구축에 협력하고 최종적으로 양자암호 기반 차세대 국가 과학기술연구망(KREONET) 기술을 제공하기로 협의하였다. 더보기 >KREONET, 세종텔레콤 및 연구소기업과 5G 특화망 구축 개발 협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세종텔레콤(대표이사 유기윤) 및 KISTI 연구소기업인 ㈜트렌토 시스템즈(대표이사 김영재)와 9월 16일 KISTI에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기반의 5G 특화망 구축 및 실증사업 추진과 상호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KISTI는 SDN 중심의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플랫폼 연구 개발과 SDN 광역연구망(KREONET-S) 연동 및 구축・실증에 대한 협력을 수행할 계획이다. 세종텔레콤과 연구소기업은 자체 유무선 코어 인프라 기반의 대규모 실증 지원 및 5G 특화망 플랫폼 구현, 5G와 SDN 기반의 기술 상용화 R&D와 제품 공급, 다양한 수요기업 발굴 등을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더보기 >KREONET 커뮤니티 활성화 강화를 위한 실무자협의회 운영회의 개최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실무자협의회 위원이 참석하는 ‘2021년 KREONET 실무자협의회 실무위원 Workshop’을 2021년 11월 10일(수)~11일(목) 개최하였습니다. 해당 행사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의 발전과 원활한 운영 방안에 대한 토론 및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사용자들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행사입니다.
이번 행사는 제주 메종글래드 호텔에서 개최되었으며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실무자협의회 위원 및 KISTI 관계자들 총 39명이 모여 개최되었습니다. 행사 내용으로는 2021년 실무자협의회 성과 보고, 실무자협의회 및 지역 분과 위원회 활성화 방안, 2022년 실무자협의회 추진 사항 등을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KREONET Workshop 2021 개최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서는 약 200여 활용기관 및 이용자/연구자를 대상으로 하는 워크숍으로 첨단 네트워크 기술, 연구망 활용 사례, 연구망 구축 및 성과 등을 공유함으로써, 연구망 이용자 및 연구자간 협력을 도모하고,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의 새로운 장을 마련하기 위한 비전 공유의 장 마련을 위해 2021년 12월 8일(수) ∼ 12월 9일(목) (2일간) KREONET Workshop 2021을 개최합니다.
특히, 이번행사는 코로나 19로 인해 Zoom 및 Youtube를 사용하여 비대면으로 개최될 예정입니다. 관련 링크(클릭)
사전등록 바로가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