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선진국들은 과학기술의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슈퍼컴퓨팅 자원의 최고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슈퍼컴퓨터를 고속의 연구망을 통해 연결하고 이를 과학기술에 공동으로 활용하기 위한 자원과 기반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슈퍼컴퓨팅 공동활용을 통해 전국에 위치한 슈퍼컴퓨팅자원들의 연동과 기술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각 지역센터의 활성화의 자립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 지역센터의 역할과 파트너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핵심 전문센터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더욱더 고속의 그리고 고품질의 연구망의 연결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 1.2TB
실험데이터
- 3
모델개발/계산
- 3
슈퍼컴서비스
- 4
연동기관 수
-
연구내용
부산대학교 캠퍼스간 분산된 연구 인력이 고성능 컴퓨티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연구망 구성
- 타 기관과 공동활용 예정의 신구 계산 자원(HPC-28.2 TFlops)도입
신규 사업(유전체빅데이터분석 전문인력양성)과 연계하여 주요 참여기관 (POSTECH/카톨릭 대학교/아주대학교/한양대학교) 공 동 연구망 구축 계획 확립
참여기관과 연계될 수 있는 부산대학교 캠퍼스간 공동 연구망 구축 계획 수정PLSI 시스템 연결 구성도
SSH/Remote Desktop/Web(Login/Compile/Run) → 통합 로그인 노드 - 광주/전남(GIST), 울산(UNIST) - 부산/경남(PNU, PKNU, TU) - 통합관리서버 - 대전/충남(KOBIC(KRIBB), KISTI) - 서울/경기(KIAS, UOS)
PLSI network(1 Gbps)
-
광주/전남 Gist(IBM x335 클러스터)
- Application
- LINUX
- GPFS
- LoadLeveler-MC
- Nagios
- LDAP
- SSH
-
울산 UNIST(x86 클러스터)
- Application
- LINUX
- GPFS
- LoadLeveler-MC
- Nagios
- LDAP
- SSH
-
서울/경기
-
KIAS(X86 Cluster)
- Application
- LINUX
- GPFS
- LoadLeveler-MC
- Nagios
- LDAP
- SSH
-
UOS(X86 Cluster)
- Application
- LINUX
- GPFS
- LoadLeveler-MC
- Nagios
- LDAP
- SSH
-
KIAS(X86 Cluster)
-
부산/경남
-
PNU(SGI Altix 1350)
- Application
- LINUX
- GPFS
- LoadLeveler-MC
- Nagios
- LDAP
- SSH
-
PKNU(IBM x335 클러스터)
- Application
- LINUX
- GPFS
- LoadLeveler-MC
- Nagios
- LDAP
- SSH
-
TU(IBM HS21 클러스터)
- Application
- Win 2008
- GPFS
- Nagios
- LDAP
- Remote Desktop
-
PNU(SGI Altix 1350)
-
대전/충남
-
KOBIC(KRIBB)(X4100)
- Application
- LINUX
- GPFS
- LoadLeveler-MC
- Nagios
- LDAP
- SSH
-
SUN B6048
- Application
- LINUX
- GPFS
- SGE
- Nagios
- LDAP
- SSH
-
KISTI(IBM p595/575)
- Application
- AIX
- GPFS
- LoadLeveler-MC
- Nagios
- LDAP
- SSH
-
PGFS
- LINUX
- GPFS
- Nagios
- LDAP
- SSH
- 400TB Global Home/Scratch Directory
PGFS - 400TB(Global Home/Scatch Directory)
-
KOBIC(KRIBB)(X4100)
활용내용
연구망 최종 구성도
- 밀양캠퍼스
- 양산캠퍼스
- 장전동캠퍼스(Piris 시스템)
- 아미동캠퍼스(아미동병원 의학연구소 )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 지진방재연구센터
- 산학융복합센터(SUN1차 시스템, IBM2차 시스템)
- 의학전문대학원/유전체빅데이터 분석 전문인력양성 사업단
- 기존간연구망 연결구간 : 양산캠퍼스 - 지진방재연구센터
- 연구망 필수 추가필요 구간 : 아미동 캠퍼스 - 장전동 캠퍼스, 아미동 캠퍼스 - 양산 캠퍼스, 지진방재연구센터 - 산학융복합센터, 지진방재연구센터 - 의학전문대학원/유전체빅데이터 분석 전문인력양성 사업단
- 연구망 추가 필요 구간 : 밀양캠퍼스 - 양산캠퍼스, 밀양캠퍼스 - 장전동 캠퍼스, 일양 캠퍼스 - 아미동 캠퍼스
데이터 중심
-
일간
1~10GB -
월간
50~100GB -
년간(총량)
1.2TB -
첨단망 활용연구 효율성 효과
50% 이하 -
전송량
1.2TB -
참여연구원
134명
지원내용
2017. 10. 30. PNU 융합생명심포지움(Vidyo 및 CXP 활용) 신규 계산 자원 설치 모습 2017. 11. 08. 의과대학전체교수회의(Vidyo 및 CXP 활용) 2017. 12. 18. 의과대학 성적사정화상회의(Vidyo 및 CXP 활용) -
연구내용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은 독자적인 한국형 모델 개발 업무를 수행중이며, 최근 초기버전의 시험모델 개발을 완성
- 기 개발된 시험모델의 모의 성능, 안정성 및 효율성 등의 다양한 분야의 테스트 과정이 요구
- 연구원 및 시험모델 자문단의 기상청 서버 접속 및 모델 운영
자료전송망(Kreonet)
- 사업단 L3 사업단(동작구 신대방동)
- 국가기상슈퍼 컴퓨터센터(충북오창)
- KISTI(충남대전)
첨단연구망 시스템 현황 활용내용
시험모델의 스톰트랙 모의 성능 진단
독자모델의 상부 대류권 및 성층권 예측성 진단 및 온대저기압 모의 성능 진당
경계층 모의 성능 진단 및 오존 모의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시험모델의 사례별 강수예측 성능 진단
독자모델의 항공기상요소 모의 성능 검증 및 분석 판단
모델의 태풍 예측성 진단-
첨단망 활용연구 효율성 효과
100% 이상 -
전송량(년간)
1PT
네트워크 장비 사진 지원내용
기존 대비 첨단망 연결로 인하여 KISTI와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의 전산자원을 이용하여 한국형수치 예보모델로 개발된 시험모델의 모의 성능, 안정성 및 효율성 등의 다양한 분야의 테스트 과정을 진행하고 사업단 전산자원 대비 약 1,000% 이상의 전산자원을 활용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