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초고성능 국가 데이터 네트워크, KREONET

개요

2005년 시작된 고에너지물리, 천문우주, 기상기후, 핵융합 등 거대과학연구분야 글로벌 협업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미국, 중국, 러시아, 캐나다, 네덜란드 등 주요국 연구망 총 15개국 이상이 참여하여 전 세계를 10/100기가급으로 연동하는 국제연구망

* GLORIAD: Global Ring Network for Advanced Applications Development

연혁

'05년 GLORIAD 프로젝트는 미국 NSF IRNC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최근 이를 확장하여 APOnet, ANA, AER 등 아시아태평양, 북미/남미, 유럽 등의 대륙간 국제연구망 컨소시엄이 조직되어 상호 긴밀히 연동함

  • 2021
    • 아시아태평양 오세아니아 글로벌 연구망 협의체(APOnet) 결성
  • 2018
    • 중국(홍콩)-한국(대전)~미국(시카고/시애틀) 100Gbps, 시카고(미국)~암스테르담(네덜란드) 10Gbps 개통
  • 2016
    • 한국(대전)-미국(시카고) 아시아태평양 최초 100Gbps GLORIAD 개통
  • 2015
    • KISTI/GSDC - CERN 10Gbps LHC가속기 광전용망(LHCOPN) 개통
    • * LHCOPN: LHC Optical Private Network

  • 2013
    • 중국(홍콩)-한국(대전)-미국(시애틀/시카고) 10Gbps GLORIAD 개통
  • 2005
    • 미국, 중국, 러시아, 캐나다, 네덜란드 등 주요국 연구망이 참여하여 전세계 북반구를 환(Ring)형으로 연결하는 10기가급 GLORIAD 프로젝트 시작
    • * GLORIAD 개통식 "Grand Opening for Big GLORIAD", 2005. 9. 5.

인프라

  • 100Gbps 국제백본회선: 중국(홍콩)-한국(대전)~미국(시카고/시애틀) 100Gbps 주회선/10Gbps 보조회선, 미국(시카고)-네덜란드(암스테르담) 10Gbps 주회선/10Gbps 보조회선
  • 5개 국제 PoP: 중국(홍콩), 한국(대전), 미국(시카고/시애틀), 네덜란드(암스테르담)

    * 광전송장비, 고성능스위치/라우터, 성능측정서버 등으로 구성

구성도

주요 거대과학연구 지원분야

  • 고에너지물리분야: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 거대강입자충돌기(LHC)/고광도거대강입자충돌기(HL-LHC), 일본 고에너지연구소(KEK) Belle II 실험, 포항가속기연구소 4세대방사광가속기(PAL-XFEL),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RAON) 등
  • 핵융합분야: 한국형초전도핵융합로(KSTAR), 국제열융합실험로(ITER) 등
  • 천문우주: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슬론디지털우주관측(SDSS), 거대전파망원경어레이(SKA), 대형시놉틱관측망원경(LSST), 동아시아VLBI관측망(EAVN),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태양 및 우주환경감시 등
  • 기상기후: 국가기상슈퍼컴퓨터와 연동한 기후예측모델 연구, 대기 및 해양 수치모델 연구
  • 항공우주: 국가위성지상네트워크, 한국형발사체연구(누리호), 위성추적소 운영, 한국달탐사선(KPLO) 등
  • 바이오유전체: 국제암유전체컨소시엄(ICGC), 암유전체분석(PCAWG) 및 암유전체지역데이터센터(RDPC),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국가 바이오 스테이션 등
  • 기타: 시공간 측정정밀도 한계극복(초의 재정의 기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