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량데이터와 다수 기술의 융합은 데이터의 단순한 활용을 넘어서 미래기술의 발전과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기술분야 입니다.
연구자들이 활용하는 데이터의 접근에 가상환경, 실감교류환경기술과 같은 미래기술과 융합하여 좀 더 효율적인 환경을 구축하는 분야입니다.
KREONET에서는 기존 HD, 4K 미디어전송에 활용한 네트워킹 기술을 확장하여, 물리적 거리와 트래픽의 전송에서 발생이 우려되는 지연시간과 품질저하를 극복하는 네트워킹 기술과 시스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국내외 협업기관
한국천문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
2
참여연구원
-
1
SCIE논문
연구 목적/내용
- 공존현실 내 태양 영상 교육 서비스 구현 및 검증
- 공존현실 내 원격 GMP 교육 서비스 구현 및 검증
연구망 활용
- 원격지간 40G 연구망을 활용한 태양 영상 전송 실험 수행
- CHIC(40G) -KASI(10G) 간 SDO 영상 전송 실험
- CHIC-KASI 에 있는 두 명의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태양 영상을 전송하고 동시에 가시화하는 실험 수행
- 3인이 참여할 수 있는 태양 영상 교육에 대한 사용자 실험 및 평가
연구망 활용 성과
- 상용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없는 한계를 연구망을 통하여 극복 및 검증
- 유사한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제공할 수 있는 연구환경 조성
- 전문가의 음성 해설과 포인팅 기능을 추가하여 교육 효과 증진
- 자원한 사용자들이 태양 영상 교육 서비스를 실제로 체험하고 피드백을 통해 개발된 교육 서비스의 장단점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
- 바이오산업 전문인력 양성 및 고도화를 위한 VR 기반 체험형 교육 플랫폼 구축
- 교육 시나리오를 반영하여 교육 효과 증진
- 원격 GMP 교육 서비스를 감독관, 훈련자, 튜토리얼 등으로 분류하여 참여자에 따라 원하는 교육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서울대학교병원, 한국천문연구원 등 원격 공존현실 협력
- 국내 언론보도를 통한 홍보
-
-
국내외 협업기관
KAIST, 국토지리정보원, 한국천문연구원
-
dark fiber 활용
전송량
-
4
참여연구원
연구 목적/내용
- VLBI를 이용한 광시계 비교를 위해 필요한, 연속파레이저를 활용한 저잡음 마이크로파 생성 기술 연구
- 초저잡음 연속파레이저를 통해 생성된 마이크로파 잡음 및 안정도 측정
- 광주파수 빗을 이용한 광격자 시계레이저와 전송용레이저 위상잠금
연구망 활용
- KRISS–KAIST 총 길이 약 7km 광섬유 망 구축 및 초정밀 광시계 신호 저잡음 전송
- 광섬유를 통한 시계레이저 저잡음 전송
연구망 활용 성과
- 첨단망 활용사업을 통해 사용할 수 있었던 Dark fiber를 이용하여 실험 달성
- 국내 최초로 광주파수시계용 초안정 광시계 신호를 이용하여 고안정 마이크로파 생성
- 광주파수빗을 통하여 저잡음 마이크로파 생성 확인
- KRISS 원자시계로부터 생성된 안정된 광신호를 신호의 품질저하 없이 전송 성공
- 광시계 기반 저잡음 마이크로파 생성기술과 VLBI 측정기술을 접목하여, 초의 재정의에 기여 가능성 확인
-
-
국내외 협업기관
KAIST, POSTECH, GIST, 한양대학교
Indiana univ. Microsoft
-
100
전송량(연간)TB
-
20
참여연구원
-
1
SCIE논문
연구 목적/내용
- 복잡계 이론을 활용한 미시적 거시적 사회현상 연구
- 복잡계 이론을 활용한 네트워크 동역학 연구
- 복잡계 방법론을 활용한 인간 지식 구조 그래프 연구
연구망 활용
- 연구진간 구축된 연구자원과 데이터를 공유하여 분야 융합적인 협업환경 구축
- Microsoft academic graph 데이터 등 해외 제공 데이터 수집
- OECD, UNESCO 등 다양한 국내외 기관의 사회경제 데이터 수집
연구망 활용 성과
- 인터넷 상의 사회현상 분석 연구를 통한 사회문제 해결 통찰 제공
- 비대면 시대에 연구망 자원을 통해 효율적으로 연구데이터를 교류함
- 해외 자원 수신시 기존의 10일 이상 소모되었던 시간자원을, 실시간으로 취득 가능하여 연구환경 개선
- 복잡계 기법을 활용한 인공지능 빅데이터 내재적 편향성 연구과제 발굴
- 고성능 유사도 네트워크 구축 기법 개발
- 선형 복잡도 고성능 네트워크 클러스터링 방법론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