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초고성능 국가 데이터 네트워크, KREONET

총 게시글 240 RSS
  • [안내] 2023년 제12회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KrIGF) 개최 및 사전등록 안내 2023. 06. 21 View. 38328

    행사 안내 >>> KrIGF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 – SOUTH KOREA INTERNET GOVERNANCE FORUM  

  • [행사안내] 2023년 하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 개최 2023. 06. 20 View. 43790

    행사등록기간(클릭)>> 6월 20일 ~ 7월 4일 <<※ 본 행사 프로그램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현장등록은 불가하오니 필히 온라인 사전등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참석자들에게 행사기간 내 숙식(1박 4식)이 제공되며, 별도의 등록비는 없습니다.  

  • [KISTI Special] 디지털 D.N.A.를 활성화 하다… KISTI 과학기술디지털융... 2023. 06. 07 View. 39303

     설립 2년차 신생 4본부, 디지털전환 핵심 역할 수행과학기술연구망, 사이버보안 등 과학기술계 연구 필수 인프라 운영데이터 기반 사회문제 해결 및 데이터 전문 인력 양성 지원국가 차원의 디지털 대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러브콜이 끊이지 않는 곳이 있다. 2021년 9월 KISTI의 네 번째 본부로 설립된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가 그 주인공이다.아직 만 2년이 채 되지 않은 이곳에선 디지털전환의 밑그림이 그려지고, 다양한 색채가 더해지고 있다.■ 과힉기술 디지털 융합 연구환경 조성한다. 과학기술 D.N.A.는 디지털전환의 핵심인 Data, Network, AI를 의미한다. [사진=KISTI 유튜브 채널]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의 역할은 국가 디지털 대전환과 정부출연연구기관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즉 연구자를 비롯한 다양한 전문직 종사자부터 시민들까지 다양한 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홈과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편의성을 높이고, 성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특히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 과학기술 기반 D.N.A. 역량 강화 및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과학기술 D.N.A.는 디지털전환의 핵심인 Data, Network, AI를 의미한다.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는 D.N.A.에 기반한 디지털 진화적 서비스를 개발 및 공급함과 동시에 운영함으로써 사용자들의 D.N.A. 역량도 강화하고자 한다.이러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배경에는 KISTI의 경험과 노하우가 있다. 이혁로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장은 "KISTI는 1988년부터 국내 최초로 슈퍼컴퓨터와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서비스를 제공해오며 국내 정보화시대 선도에 앞장서왔다"라며 "고에너지물리, 핵융합, 천문우주, 기상기후 등 데이터집약형 거대과학분야 초고성능 네트워킹 서비스부터 기업지원현 플랫폼 서비스까지 다양한 D.N.A. 기반 서비스를 지원해왔다"고 말했다.■ 초고속 연구데이터망부터 사이버보안까지…든든한 연구 환경 지원 이혁로 본부장은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의 대표 서비스로 KREONET을 지목했다. [사진=KISTI 유튜브 채널]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에서 지원하는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KREONET이 있다. KREONET은 글로벌 협업 연구에 있어 필수적 연구 인프라로 꼽힌다. 일반적으로 용량이 크고 복잡한 연구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선 상용인터넷이 아닌 고성능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요구되는데, KISTI의 KREONET이 이를 든든하게 뒷받침하고 있다.조부승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KREONET은 1988년부터 35년간 이상 중단 없이 운영되고 있고, 노하우를 축적하고 끊임없이 진화하며 이용자들에게 만족도 높은 서비를 제공하고 있다"라며 "세계적 수준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테라급 글로벌 연구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여 운영해나갈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데이터와 연구암이 발전함에 따라 함께 주목받는 것이 바로 사이보안이다.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S&T-CSC)는 2005년부터 과학기술계 사이버보안을 책임지고 있다. 특히 웹사이트가 고도화됨에 따라 해킹을 비롯한 사이버 공격 기술도 발전하고 있는 반면, 보안체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KISTI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는 차세대 보안관제 원천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래서 지난 '21년부터 차세대 암호화 보안관제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연구를 추진하여 '23년 4월부터 다부처공동연구의 총괄 주관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이혁로 본부장은 "이러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원활하게 보급하고 운영할 수 있는 기반에는 KISTI 4개 본부의 탄탄한 기본 역량과 상호 원활한 협력체계가 있다"라며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는 디지털전환 시대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으로서 역할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늘어나는 데이터 인프라와 인재 수요에 대응한다. KISTI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 이혁로 본부장.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가 빛을 발하고 있는 분야는 또 있다. 데이터에 기반한 재난재해를 예측하고 대응하는 데이터기반문제해결연구단이 올해 본격적으로 실증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미세먼지, 침수, 지진 등의 자연재해를 대상으로 하며 데이터에 기반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있는 설계는 물론, 자연재해 발생 시 빠른 대처도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개방형데이터융합연구단(DDS 융합연구단)에도 함께 참여하며 부산광역시와 함께 실증화를 이어갈 예정이다.또한 스마트팜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농가 지원에도 박차를 가한다. 충남대학교 및 유관기관과 함께 데이터에 기반한 농업데이터플랫폼과 서비스를 구축 및 지원함으로써 농가의 디지털전환과 함께 효율적 운영을 돕고 있다.인프라 못지않게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바로 인력이다. 데이터 전문 우수인력의 수요가 날로 늘어가고 있는 가운데, 이를 전문적으로 양성할 교육기관이 없었다. 이에 KISTI는 지난 2018년부터 과학데이터교육센터를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과학데이터교육센터은 빅데이터, AI, 슈퍼컴퓨터, 메타버스, 과학기술연구망 등 과학데이터 관련 전문 교육과정을 기획하고 운영함으로써 산·학·연·정 재직자의 역량강화 및 신규 인재양성에 기여하고 있다.이혁로 본부장은 "디지털전환이 본격 가속화됨에 따라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의 역할이 날로 커져가고 있고, 또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라며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맞춤형으로 지원함으로써 사회 현안에 대응함과 동시에 국가과학기술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는 뜻을 밝혔다.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조부승 센터장.출처 = [KISTI Special] 디지털 D.N.A..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 [안내] 2023 DATA·AI 분석 경진대회 2023. 06. 05 View. 38450

     [2023년도 DATA·AI 분석 경진대회]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는 데이터와 AI 기반으로 과학·사회적 문제를 해결하여 국내 연구데이터 및 AI 생태계 저변을 확대하기 위하여 'DATA·AI 분석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행사명: 데이터·AI 분석 경진대회 주최/주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NST, 대전광역시, 국회도서관, KISTI유형 : 1.과학기술 문제형, 2. 사회현안 문제형참가자격: DATA·AI 분석 활용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행사일정: 2023.05.30. ~ 10.27. / 시상식 11월 30일 예정홈페이지: https://aida.kisti.re.kr 출처 : 2023 DATA·AI 분석 경진대회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 The 17th Asia Telemedicine Symposium / Dec 15th (F... 2023. 05. 31 View. 38632

    The 17th Asia Telemedicine SymposiumDecember 15 (Fri) -16 (Sat), 2023 (Japan time)*Only the engineering workshop is held on the 15th (Fri).Kyushu University Hospital, Fukuoka, Japan & Online  >>>> https://www.temdec.med.kyushu-u.ac.jp/eng/seminar/symposium.html  

  • [공지] 연구망 고성능 네트워킹 기술 및 서비스 무료 교육 (6월 20일~21일) 2023. 05. 22 View. 40274

    2023년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과학기술연구망의 첨단 네트워킹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교육을 6월 20일과 6월 21일 양일간에 걸쳐 KISTI 대전 본원에서 무료로 실시합니다.   본 교육 과정에서는 고성능 네트워킹 기술과 신뢰 기반 디지지털 ID 관리 기술에 대한 과정으로1)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화된 네트워크 설계 기법(ScienceDMZ),네트워크 성능 모니터링 시스템(perfSONAR),전용 고속 데이터 전송 시스템(DTN), 2) 고성능 데이터 전송 툴(Globus)을 이용한 고속전송 환경구축 및 활용 방법, 3)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기술의 개념과 인프라 구축 및 응용기술, 4) 신뢰 기반 디지털ID관리 기술, 5)양자암호통신을 위한 양자정보 이론 기초   등의 다양한 주제들을 폭넓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특히, 본 교육 과정은 과학기술연구망 이용자에게는 과학기술연구망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은 물론 다양한 최신 네트워크 기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아울러 6월 22일에는 연달아 양자키분배(QKD)프로토콜과 구현 기술, 양자키관리 표준화 동향 및 구축기술 등의 양자암호통신기술에 대한 교육도 실시합니다.   현재 연구망을 활용하고 있는 이용자, 향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 그리고 고성능 네트워킹 기술에 관심있으신 분이라면 누구나 참여가능합니다.   고성능 네트워킹 교육 안내: https://kacademy.kisti.re.kr/course/free/63a53ffb7ac3270bceb9ad65

  • 농업 빅데이터 및 활용 모델 통합 연계 체계 개발 과제 소개 - 농업 분야 빅데이터 및 ... 2023. 05. 18 View. 32491

    KREONET에서는 2022년 4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농촌진흥청에서 제안한 농업 빅데이터 수집 및 생산성 향상 모델 개발 과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관기관은 서울대 농대이고 공동연구기관으로 KISTI가 참여하는 사업으로 진행된다. 본 사업은 센싱, IoT 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의 생산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농업 분야에서는 아직 데이터 기반의 생태계가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 분야의 빅데이터와 기계학습 모델 API을 활용하여 공공 또는 민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대에서는 농업 생산, 농업 환경, 기상기후 등의 데이터와 기계학습 여러 모델들을 연계하여 미래 농업 생산량 및 출하량 등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KISTI에서는 데이터와 모델의 저장 및 기계학습 처리를 수행하는 개발자들을 위한 플랫폼을 개발한다.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기존에 인공지능 연구 환경 제공 시스템 AI KREONET을 개발 및 운영한 경험을 바탕으로 농업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 플랫폼에 기술을 적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농업 모델 공공 및 민간 서비스 활성화를 통한 농업 분야의 경쟁력을 제고하며, 농업 재배 관리 서비스를 통한 농가별 기후변화 및 이상기상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고하고자 한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을 통해 기존에 연구한 AI KREONET 플랫폼을 타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 플랫폼 사업에 적용할 수 있으며, 국내의 한국과학기술연구망의 역량을 강화하고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 NST 다학제 융합클러스터 2차 워크숍 개최 2023. 05. 18 View. 30684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은 “미래 사이버 융합연구를 위한 광기반 혁신적 네트워크 융합클러스터라는 주제”로 NST 다학제 융합클러스터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NST 다학제 융합클러스터 2차 워크숍”을 천안 소노벨 리조트에서 4월 20일부터 21일까지 1박 2일 동안 개최하였다. 본 워크숍은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과 기관별 네트워크 현황 및 구축 계획, 산·학·연·군의 융합연구 활용 사례 및 미래 연구 수요를 공유하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물리적, 논리적 네트워크 이중화 강화 방안(연구데이터 소실 사례 공유), 수요 기관 확대 방안, 대용량 데이터 저장에 대한 요구 대응, DR 센터로의 백업 데이터 전송 등으로 인한 트래픽 변화에 대한 준비를 포함하여 대덕 첨단고성능 특화연구망의 업그레이드(SuperSiren2, 가칭) 설계 시에 실질적으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본 워크숍을 통해 제시된 연구 수요들과 안건들은 과학기술연구망의 차세대 특화연구망을 고도화하고 활용하는데 적극 반영될 예정이다. 본 다학제 융합클러스터 과제는 올해 6월까지 1차년도를 마무리하고 7월부터는 2차년도로 시작하며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과 사용자 수요를 반영한 네트워크 설계를 수립하기 위해 보다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11th CEF Networks Workshop, LHCOPN-LHCONE, SIG-NGN... 2023. 05. 18 View. 29434

    CEF Networks (광기반 연구망 기술) Workshop 2023은 2023년 4월 18일 ~ 4월 19일, 양일간 체코 프라하에서 체코연구망(CESNET)이 개최하였다. CEF Networks Workshop은 체코연구망에서 개최하는 전 세계 유일의 국가연구망간 Dark Fiber Footprint 개발과 첨단응용에 관한 워크숍으로 2년에 한번씩 개최되는 행사로 올해로 제11회를 맞이하여, 아래의 영역에 대한 발표 및 논의가 진행되었다.   본 워크숍을 통해, 다양한 국가연구망에서 Dark Fiber에서의 Flexible Spectrum Allocation, Multiple Transmission System, Time and Frequency Transfer는 물론 Distributed Sensing 등의 새로운 기술 및 응용에 대해 소개되었다. 또한 QKD, Entanglement, Metrology 등의 분야에 대한 양자응용기술에 대한 소개는 물론 이러한 다양한 응용을 지원하기 위한 광전송 계층 구현 시 Multi-domain spectrum sharing/alien waves 전송이 가능한 개방성이 보장된 구축이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KREONET의 dark fiber footprint는 물론 dark fiber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응용을 소개하였으며, 특히 한-이탈리아와 추진하고 있는 대륙간 광시계 비교 프로젝트에 대한 많은 질의가 있었으며, 향후 유럽 내 GEANT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연구망과의 협력이 기대된다.      또한 올해로 50회를 맞이하는 LHCOPN-LHCONE (LHC 광전용망 및 LHC 개방형네트워크) 워크숍이 4월 18일 ~ 4월 19일, 체코 프라하 Institute of Physics of the Czech Academy of Sciences에서 개최되었다. 본 행사는 스위스 CERN 주도의 LHCOPN-LHCONE (LHC 광전용망 및 LHC 개방형네트워크)에 대한 워크숍으로 올해 처음으로 중국의 IHEP은 LHCb에 대한 Tier1를 그리고 폴란드의 핵물리연구소인 NCBJ(Narodowe Centrum Badań Jądrowych)는 LHCb proto Tier1 WLCG Tier1으로 개소함을 밝혔다. WLCG LHCONE prefix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CRIC Database에 대한 현황 및 개발, JUNO, Belle II, DUNE 등의 LHCONE을 이용하는 고에너지물리 분야 프로젝트에 대한 업데이트가 발표되었다. 또한 SENSE-Rucio, perfSONAR 5.0, Packet pacing, Data Caches, multiONE Implementation, Jumbo frame, SC23 Demo, FABRIC/FAB, P4 and Tofino 등의 다양한 이슈에 대한 활발할 토론이 이루어졌다. KREONET의 국내망 및 국제망 업그레이드와 더불어 KREONET LHCOPN과 LHCONE의 향후 구축 계획을 포함한 업데이트 현황을 발표하였다.   또한 같은 장소에서 11th SIG-NGN (유럽연구망기구 주관 차세대 연구망 기술) 미팅이 개최되었다. SIG-NGN (Special Interest Group on Next Generation Networks)은 GEANT(유럽연구망) 주도의 차세대 네트워크를 위한 논의 기구로 올해는 "Large science experiments and networking futures"라는 주제로 HL-LHC, ITER, SKA 등의 글로벌 빅사이언스 분야 전문가를 초청하여 이러한 분야의 요구사항과 향후 지원해야 할 국가연구망의 서비스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IPv6 traffic, perfSONAR 5.0, GNA-G Global Networking 등의 네트워킹 환경에 대한 소개는 물론 이러한 다양한 요소의 기술을 접목한 DOE의 Integrated Research Infrastructure에 대해 소개되었다.   

  • KISTI 원내 Globus online 이용 그룹 협력 미팅 2023. 05. 18 View. 29169

    4월 4일 KISTI 원내 Globus online 이용 그룹들의 서비스 적용 현황 및 향후 계획 공유를 위한 협력 회의가 진행되었다.   이번 회의는 유관부서인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슈퍼컴퓨팅인프라센터, 인공지능데이터연구단이 참여하여 100G급 Nurion 데이터 전송 노드 클러스터 전송 환경 구축 및 운영, AIDA 서비스(KISTI AI 데이터 공유•활용 서비스)에서의 Globus 프리미엄 스토리지 커넥터(iRODS 커넥터) 도입 경험,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GCSv5 중심의 구조 리뷰 및 향후 계획 등을 논의하였다.   이번 협력 회의를 통해 Globus 서비스 기반의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을 토대로 연구 자원의 공동 활용 및 유관 부서 간 긴밀한 기술 협력에 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고, 더 나아가 KISTI 활용 사례들이 KREONET 가입 기관에서도 참조 모델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