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KVN 평창전파망원경 상량식 참석 후기 2023. 07. 24 View. 729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2023년 6월 14일에 강원도 평창군 서울대학교 캠퍼스에서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늬 4번째 KVN(Korean VLBI Network) 전파망원경인 평창 전파망원경 상량식에 참석하였다. 기존 3기(서울, 제주, 울산)의 한국 전파망원경에 이어 4번째 전파망원경이다. 올해 하반기에 준공을 목표로 하는 평창 전파망원경은 내년 상반기 시범 운영을 거쳐 같은 해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관측에 나설 예정이다.국가과학기술연구망(KRONET)에서는 기존의 KVN 전파천문대 네트워크(서울, 제주, 울산)는 물론 이번 KVN 평창 전파천문대에도 KREONET을 지원하여 KVN, 동아시아 VLBI, 차세대 EHT 프로젝트 등의 천문 연구가 가능하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자료 출처 : 한국천문연구원관련링크 >> KVN 상량식 갤러리 https://radio.kasi.re.kr/kvn_ko/kvnpc/construct_list2.php >> 관련 뉴스 서울·제주·울산 이어 평창에도 전파망원경…우리 기술로 블랙홀 찾는다 - 조선비즈 (chosun.com)
-
EuCNC & 6G Summit 참석 후기 2023. 07. 24 View. 798
2023년 6월 6일부터 9일,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EuCNC & 6G Summit 행사가 개최되었다. EuCNC는 유럽의 ICT분야 각 R&D 프로그램들의 결과 및 펀딩 받은 프로젝트들을 소개하기 위한 컨퍼런스로써, EU 집행위원회에서 후원한다. '92년의 RACE Mobile Summit부터 이어져와서 올해 31번째 개최되었으며, '21년부터는 핀란드의 6G Summit (핀란드 6G Flagship 프로그램에서 '19년부터 개최한 컨퍼런스)과 합동으로 행사를 진행했다.사진1. EuCNC & 6G Summit 행사장 입구 전경총 894명이 참석하였으며, 메인 세션 뿐 아니라 다양한 워크숍, 튜토리얼, 스페셜세션, 전시 및 데모 등이 진행되었다. 사진2. EuCNC & 6G Summit 데모·전시 부스대부분 연사들이 6G의 첫 상용화 시점을 2030년경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유럽 여러 국가에서 이미 6G 기술들에 대한 연구개발 과제를 진행 중이다. EU는 2021년 11월에 시작된 스마트 네트워크 및 서비스 공동사업(SNS JU)를 통해 2025년까지 6G 분야의 기술 주권을 육성하고, 시장을 개발하고, 경제·사회의 디지털 및 녹색 전환을 하고자 한다. Phase 1('21-'22)에서 연구, 시험, 파일럿 등 35개 프로젝트들에 약 2억 4천만 유로를 지원했으며, 향후 7년간 9억 유로를 지원할 예정이다.5G와 비교했을때, 6G enabler 기술들 및 패러다임은 많은 부분들에 변화가 있다. 6G는 5G에 비해 약 10~20배 빠른 throughput을 만족하기 위해 고대역 주파수(mmWave, THZ)의 본격적 활용을 전제로 단점을 보완하고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및 센싱기술 등의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또한 NTN(Non-Terrestrial Network) 키워드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특히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영국, 스웨덴, 핀란드 등 여러 유럽 국가들에서 '22년부터 NTN을 포함하여 3D integrated 네트워크를 다양한 분야와 응용들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6G 표준화 진행현황으로, 2023년 6월 현재 ITU-T에서 6G의 비전에 대한 문서를 완성한 상태이다. '26년까지 ITU-T에서 6G 목표(성능 요구사항, 평가방법 등) 문서가 만들어질 것이며, 이후 3GPP에서 29년까지 3GPP release-21을 6G의 첫번째 표준으로서 제출하는 것을 목표로 표준 개발이 진행될 것이다.이번 행사를 통해 KISTI는 5G/6G 기술에 대한 향후 연구개발 방향 및 비전을 파악하였으며 분석된 전략, 차세대 기술 응용/활용방안 등을 KREONET의 차세대 유무선 통합망 기술 개발과 서비스 및 연구계획 수립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사진3. EuCNC & 6G Summit Closing Session
-
NST 다학제 융합클러스터 사업(‘광섬유 기반 분포형 음향 계측 데이터를 통한 지진파 탐지... 2023. 06. 21 View. 1375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연구망에서는 “광섬유 기반 분포형 음향 계측 데이터를 통한 지진파 탐지 융합클러스터”의 주제로 NST 창의 융합클러스터 과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6월 22일부터 23일까지 양일간 1차 워크숍을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1. 워크숍 안내- 주제: 광섬유 기반 분포형 음향 계측 데이터를 통한 지진파 탐지 융합클러스터 과제 추진을 위한 1차 워크숍- 일시 및 장소: 2023. 6. 22. ~ 23. (목~금) / 세종 베스트웨스턴 2. 워크숍 주요 내용 - 광케이블 센싱 및 데이터 확보를 위한 국내/외 연구 및 프로젝트 동향 파악- 국내 광섬유 기반 분포형 음향 계측 장비 개발 동향 소개- 국내 광섬유 기반 분포형 음향 계측 연구 추진 현황 공유- 창의 융합클러스터 사업 추진 계획 및 국내 실증연구 기획 방안 논의
-
[공지] KRnet 2023 (The 31st Korea Internet Conferenc... 2023. 06. 21 View. 15616
올해로서 31번째로 개최되는 ICT 콘퍼런스인 KRnet(Korea Internet Conference)이 2023년 6월 26일 (월) ~ 6월 27일 (화),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호텔에서 개최됩니다. 본 행사는 KISTI 및 8개 기관이 공동대회장으로 개최하는 행사입니다. 이번 KRnet 2023은 ‘Human Internet and Sustainable Future’라는 주제로 우리의 일상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될 Big Data Computing and Blockchain, 5G/6G, AI, Digital Transformation, Metaverse, Autonomous Mobility, Quantum, Web 3.0 등 12개 트랙, 30개 세션으로 개최됩니다.[관련 링크 바로가기] [안내] KRnet 2023 개최 안내 | 공지사항 | KREONET NEWS | 알림마당 | KREONET[행사 바로가기] https://krnet.or.kr/[사전등록 바로가기] https://krnet.or.kr/registration
-
2023년 KREONET 실무자협의회 5개 특성화대학 그룹 Workshop 개최 2023. 06. 21 View. 15621
2023년 5월 25일(목) ~ 26일(금), 여수 디오션 리조트에서 ‘2023년 KREONET 실무자협의회 5개 특성화 대학 그룹 Workshop’을 개최하였습니다. 해당 행사는 KREONET 실무자협의회의 워킹그룹을 기존의 권역별 그룹에서 사용자 특성별 그룹으로 구성하여 추진한 행사입니다. 이번 행사는 국내의 5개 특성화 대학(KAIST, DGIST, GIST, UNIST, POSTECH)의 연구망 실무자 및 네트워크, 전산 IT, 정보화 관련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특성화 대학간의 교류와 최신 IT 관련 이슈, 협력 사업 추진, 특성화 대학의 KREONET에 대한 요구사항 등을 수렴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습니다. KREONET은 사용자 요구사항 수렴 및 이용자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KREONET 실무자협의회와 협력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
한국-이탈리아 연구망 및 VLBI 기반 대륙간 광시계 비교 국제 협력 워크숍 개최 2023. 06. 21 View. 15071
NST 창의형융합연구사업 ‘대륙 간 광시계 초정밀 비교를 위한 광대역 VLBI 시공간 측정 정밀도 한계 극복(2022~2027)’ 추진을 위해, 한국-이탈리아 간 광시계, VLBI, 연구망에 대한 협력을 위한 국제워크숍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한국천문연구원(KAS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이탈리아 국립표준연구소(INRIM), 국립천체물리연구소(INAF)이 이탈리아 볼로냐에 위치한 이탈리아 국립연구위원회(CNR)에서 공동으로 개최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 이탈리아 연구망(GARR) 간 대륙간 광시계 비교를 위한 VLBI 데이터 전송망 및 광시계 동기화를 위한 광주파수 전송망 구성 및 운영,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 이탈리아 국립표준연구소(INRIM) 간 광시계 비교를 위한 광시계 개발 현황 및 비교 방법, 한국천문연구원(KASI) - 이탈리아 국립천체물리연구소(INAF) 간 초소형 3채널 수신기(CTR: 22/43/86 GHz 동시 관측 가능)를 통한 VLBI 구성 및 운영 등에 대해 협의 하였다. 이탈리아측의 INRIM 광시계 운영 및 INAF 메디치나 전파망원경 내 CTR 도입과 한국측의 KASI 연세 및 평창 전파망원경 내 CTR 도입과 KRISS 광시계 운영 그리고 한국 내 KRISS 광시계 – KASI 전파망원경 간 광케이블 기반 주파수 전송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23년 말 한국-이탈리아 간 동시 관측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국제 협력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사진> 한국-이탈리아 연구망 및 VLBI 기반 대륙간 광시계 비교 국제 협력 워크숍 (참석: Paolo Bolletta(GARR), Alessandro Inzerilli(GARR), Monia Negusini (INAF), Roberto Ricci (INAF), Alessandro Orfei (INAF), Marco Pizzoccaro (INRiM), Cecilia Clivati (INRIM), 허명선(KRISS), 정태현(KASI), 조부승(KISTI) 외 다수)<그림> 대륙 간 광시계 초정밀 비교를 위한 광대역 VLBI 시공간 측정 정밀도 한계 극복 연구 개요도
-
[안내] 2023년 제12회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KrIGF) 개최 및 사전등록 안내 2023. 06. 21 View. 14070
행사 안내 >>> KrIGF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 – SOUTH KOREA INTERNET GOVERNANCE FORUM
-
[행사안내] 2023년 하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 개최 2023. 06. 20 View. 9814
행사등록기간(클릭)>> 6월 20일 ~ 7월 4일 <<※ 본 행사 프로그램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현장등록은 불가하오니 필히 온라인 사전등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참석자들에게 행사기간 내 숙식(1박 4식)이 제공되며, 별도의 등록비는 없습니다.
-
[KISTI Special] 디지털 D.N.A.를 활성화 하다… KISTI 과학기술디지털융... 2023. 06. 07 View. 14738
설립 2년차 신생 4본부, 디지털전환 핵심 역할 수행과학기술연구망, 사이버보안 등 과학기술계 연구 필수 인프라 운영데이터 기반 사회문제 해결 및 데이터 전문 인력 양성 지원국가 차원의 디지털 대전환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러브콜이 끊이지 않는 곳이 있다. 2021년 9월 KISTI의 네 번째 본부로 설립된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가 그 주인공이다.아직 만 2년이 채 되지 않은 이곳에선 디지털전환의 밑그림이 그려지고, 다양한 색채가 더해지고 있다.■ 과힉기술 디지털 융합 연구환경 조성한다. 과학기술 D.N.A.는 디지털전환의 핵심인 Data, Network, AI를 의미한다. [사진=KISTI 유튜브 채널]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의 역할은 국가 디지털 대전환과 정부출연연구기관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즉 연구자를 비롯한 다양한 전문직 종사자부터 시민들까지 다양한 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홈과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편의성을 높이고, 성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특히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 과학기술 기반 D.N.A. 역량 강화 및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과학기술 D.N.A.는 디지털전환의 핵심인 Data, Network, AI를 의미한다.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는 D.N.A.에 기반한 디지털 진화적 서비스를 개발 및 공급함과 동시에 운영함으로써 사용자들의 D.N.A. 역량도 강화하고자 한다.이러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배경에는 KISTI의 경험과 노하우가 있다. 이혁로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장은 "KISTI는 1988년부터 국내 최초로 슈퍼컴퓨터와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서비스를 제공해오며 국내 정보화시대 선도에 앞장서왔다"라며 "고에너지물리, 핵융합, 천문우주, 기상기후 등 데이터집약형 거대과학분야 초고성능 네트워킹 서비스부터 기업지원현 플랫폼 서비스까지 다양한 D.N.A. 기반 서비스를 지원해왔다"고 말했다.■ 초고속 연구데이터망부터 사이버보안까지…든든한 연구 환경 지원 이혁로 본부장은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의 대표 서비스로 KREONET을 지목했다. [사진=KISTI 유튜브 채널]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에서 지원하는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KREONET이 있다. KREONET은 글로벌 협업 연구에 있어 필수적 연구 인프라로 꼽힌다. 일반적으로 용량이 크고 복잡한 연구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선 상용인터넷이 아닌 고성능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요구되는데, KISTI의 KREONET이 이를 든든하게 뒷받침하고 있다.조부승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KREONET은 1988년부터 35년간 이상 중단 없이 운영되고 있고, 노하우를 축적하고 끊임없이 진화하며 이용자들에게 만족도 높은 서비를 제공하고 있다"라며 "세계적 수준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테라급 글로벌 연구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여 운영해나갈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데이터와 연구암이 발전함에 따라 함께 주목받는 것이 바로 사이보안이다.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S&T-CSC)는 2005년부터 과학기술계 사이버보안을 책임지고 있다. 특히 웹사이트가 고도화됨에 따라 해킹을 비롯한 사이버 공격 기술도 발전하고 있는 반면, 보안체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KISTI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는 차세대 보안관제 원천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래서 지난 '21년부터 차세대 암호화 보안관제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연구를 추진하여 '23년 4월부터 다부처공동연구의 총괄 주관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이혁로 본부장은 "이러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원활하게 보급하고 운영할 수 있는 기반에는 KISTI 4개 본부의 탄탄한 기본 역량과 상호 원활한 협력체계가 있다"라며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는 디지털전환 시대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으로서 역할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늘어나는 데이터 인프라와 인재 수요에 대응한다. KISTI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 이혁로 본부장.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가 빛을 발하고 있는 분야는 또 있다. 데이터에 기반한 재난재해를 예측하고 대응하는 데이터기반문제해결연구단이 올해 본격적으로 실증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미세먼지, 침수, 지진 등의 자연재해를 대상으로 하며 데이터에 기반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있는 설계는 물론, 자연재해 발생 시 빠른 대처도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개방형데이터융합연구단(DDS 융합연구단)에도 함께 참여하며 부산광역시와 함께 실증화를 이어갈 예정이다.또한 스마트팜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농가 지원에도 박차를 가한다. 충남대학교 및 유관기관과 함께 데이터에 기반한 농업데이터플랫폼과 서비스를 구축 및 지원함으로써 농가의 디지털전환과 함께 효율적 운영을 돕고 있다.인프라 못지않게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바로 인력이다. 데이터 전문 우수인력의 수요가 날로 늘어가고 있는 가운데, 이를 전문적으로 양성할 교육기관이 없었다. 이에 KISTI는 지난 2018년부터 과학데이터교육센터를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과학데이터교육센터은 빅데이터, AI, 슈퍼컴퓨터, 메타버스, 과학기술연구망 등 과학데이터 관련 전문 교육과정을 기획하고 운영함으로써 산·학·연·정 재직자의 역량강화 및 신규 인재양성에 기여하고 있다.이혁로 본부장은 "디지털전환이 본격 가속화됨에 따라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의 역할이 날로 커져가고 있고, 또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라며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맞춤형으로 지원함으로써 사회 현안에 대응함과 동시에 국가과학기술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는 뜻을 밝혔다.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조부승 센터장.출처 = [KISTI Special] 디지털 D.N.A..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
[안내] 2023 DATA·AI 분석 경진대회 2023. 06. 05 View. 14193
[2023년도 DATA·AI 분석 경진대회]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는 데이터와 AI 기반으로 과학·사회적 문제를 해결하여 국내 연구데이터 및 AI 생태계 저변을 확대하기 위하여 'DATA·AI 분석 경진대회를 개최합니다.○ 행사명: 데이터·AI 분석 경진대회 주최/주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NST, 대전광역시, 국회도서관, KISTI유형 : 1.과학기술 문제형, 2. 사회현안 문제형참가자격: DATA·AI 분석 활용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행사일정: 2023.05.30. ~ 10.27. / 시상식 11월 30일 예정홈페이지: https://aida.kisti.re.kr 출처 : 2023 DATA·AI 분석 경진대회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