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초고성능 국가 데이터 네트워크, KREONET

총 게시글 62 RSS
  • 글로벌 연구망 최신 동향 - 2025년 1월 ~ 2월 새글이 등록되었습니다 2025. 04. 10 View. 324

    CANARIE Network Quadruples Capacity for Research and Education Data to 400 Gigabits per second ∙ (기사 게재 일자) 10. Jan. 2025 ∙ (원문 링크) https://www.canarie.ca/canarie-network-quadruples-capacity-for-research-and-education-data-to-400-gigabits-per-second/ ∙ (요약) CANARIE는 캐나다의 연구와 교육 분야를 지원하는 디지털 인프라의 핵심 요소로, 서부 캐나다의 초고속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업그레이드로 CANARIE 네트워크의 용량은 100Gbps에서 400Gbps로 확장됐다. CANARIE 네트워크는 캐나다 국가 연구 및 교육 네트워크(NREN)의 중추로, 40,000km 이상을 연결하며 13개의 주 및 지역 네트워크와 100개 이상의 전 세계 NREN을 연결한다. 400Gbps 업그레이드의 첫 번째 구간은 워싱턴주 시애틀에서부터 브리티시컬럼비아, 앨버타, 사스카툰, 매니토바까지 이어지며 5월에 완료되었고, 나머지 업그레이드는 2025년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이 업그레이드는 캐나다의 연구자들과 대학생들이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공유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400Gbps로의 업그레이드는 데이터 집약적인 연구 협력을 원활하게 만들어, 대형 하드론 충돌기(LHC)와 같은 글로벌 실험에도 기여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한다. 2023년에는 CANARIE 네트워크가 699페타바이트(PB)의 데이터를 처리했다. Copernicus en M&eae;xico, Impulsando la Investigaci&oae;n Cient&iae;fica: TICAL 2024 ∙ (기사 게재 일자) 9 Diciembre, 2024 ∙ (원문 링크) https://cudi.edu.mx/noticias/copernicus-tical2024 ∙ (요약) 2024년 TICAL 회의에서 오스카 카르데나스 박사는 Copernicus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 관측 데이터의 중요성을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위성 및 현장 측정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환경 모니터링, 정부 및 국제기구 지원 등을 돕는다. 멕시코에서는 Copernicus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Copernicus 멕시코 아카데미"가 추진 중이다. 멕시코의 여러 대학에서는 이 데이터를 활용해 환경 연구 및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과나후아토 대학교에서는 숲과 쓰레기 매립지의 화재 모니터링을 위해 Copernicus 데이터를 활용하며, 이를 통해 피해 지역을 분석하고 복원 전략을 세운다. 또한, 노르떼 데 누에보 레온 대학교에서는 Sentinel-2 이미지를 사용해 학생들에게 공간 분석 기술을 가르친다. 하야르디오와 콜리마 지역에서는 지리공간 분석을 통해 자연 보호 구역과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푸르시피케이션과 꾸이츠말라 강의 생태계를 평가하는 연구도 진행되었으며, 이 연구는 생태계 보호와 복원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2025 Emerging NREN Programme – Application deadline 14th February 2025 ∙ (기사 게재 일자) Jan 2025 ∙ (링크) https://connect.geant.org/2025/01/14/2025-emerging-nren- programme-application-deadline-14th-february-2025 ∙ (요약) 2025년 G&Eae;ANT Emerging NREN 프로그램(ENP)이 TNC25와 함께 열리며, 이는 G&Eae;ANT의 주요 행사로 6월 9일부터 13일까지 영국 브라이튼에서 개최된다. ENP는 2018년에 시작되어, 전 세계의 신흥 국가 연구 교육 네트워크(NREN) 대표자들을 TNC 커뮤니티에 통합하고 협력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도 지역 연구 교육 네트워크(RREN)는 최대 세 명의 대표자를 추천할 수 있으며, 선정된 대표자는 TNC25 참가비가 면제된다. 프로그램은 G&Eae;ANT 커뮤니티 프로그램 소개, SIG(특수 관심 그룹) 및 TF(작업 그룹) 회의 참여, G&Eae;ANT CEO와의 환영 회의 등으로 구성된다. ENP 참가자는 TNC25에서 'Lightning Talks' 발표 기회를 가지며, G&Eae;ANT는 발표 준비를 지원한다. 또한, G&Eae;ANT는 개발 원조를 받는 국가에서 여성 참가자 두 명을 후원할 예정이다. 지원자는 2025년 2월 14일까지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최종 명단은 3월 중순에 확정된다. eduroam Luxembourg further expands in partnership with CFL ∙ (기사 게재 일자) Jan 2025 ∙ (링크) https://connect.geant.org/2025/01/15/eduroam-luxembourg- further-expands-in-partnership-with-cfl ∙ (요약) 2025년 시작과 함께, eduroam 사용자들에게 좋은 소식이 있다. 룩셈부르크 전역에 새로운 핫스팟이 차례로 활성화되었으며, CFL이 추가적인 eduroam 서비스 제공자로 참여하게 되었다. 또한, eduroam.lu 웹사이트는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새롭게 단장되었다. CFL과 Restena는 연구 및 교육 커뮤니티를 위한 안전한 Wi-Fi 접속을 제공하며, 이들은 룩셈부르크 내 연구, 교육, 건강, 문화 및 공공 행정 분야에 필수적인 네트워크 및 보안 서비스를 연결한다. Restena는 룩셈부르크에서 eduroam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 세계에서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CFL과 Restena는 점진적으로 eduroam 서비스를 룩셈부르크의 철도역, 정류장, 버스에서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학교 학생, 교사, 대학 교수, 연구 기관 직원 등은 eduroam 신호가 있는 역에서 자동으로 안전한 Wi-Fi에 연결될 수 있다. 이번 협력은 Wi-Fi 인프라를 개선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회를 열어준다.

  • KISTI, 아세안 데이터 활용을 위한 HPC 등 인프라 구축 기념행사 개최 새글이 등록되었습니다 2025. 04. 10 View. 391

    KISTI, 아세안 데이터 활용을 위한 HPC 등 인프라 구축 기념행사 개최 - 한-아세안 간 지속적인 디지털 협력체계 확산 기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은 KISTI-아세안 데이터 활용을 위한 HPC 인프라 구축(Building HPC Infrastructure and HPC Capacity for ASEAN Data Utilization) 기념행사를 3월 10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위치한 BRIN(인도네시아 연구혁신청) 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프로젝트(KADIF)*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HPC 인프라 및 역량 강화 사업은 한국 정부가 공여하는 한-아세안 협력기금(AKCF)의 지원을 받아 2024년 9월부터 2028년까지 총 4년 동안 10M USD(한화 약 147억 원) 규모의 예산을 활용하여 진행될 국제 협력사업으로, 아세안 회원국에 초고성능컴퓨터(HPC)기반 활용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지털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 한-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프로젝트: 과기정통부가 아세안의 AI·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하는 프로젝트(‘24년~’29년, 한-아세안 협력기금 총 3천만 불) 이번 국제협력 사업의 주요 내용은 초고성능컴퓨터 인프라구축, 과학기술 지식 정보서비스(NTIS) 플랫폼 구축, HPC·AI 활용 등 연수 교육(160명/4년) 이다. 현재 태국과 싱가포르를 제외한 아세안 회원국 8개국은 초고성능컴퓨팅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특히 Data, AI 등의 역량의 핵심인 GPU, NPU 기반의 초고성능 컴퓨팅환경이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이 사업은 초고성능컴퓨팅 인프라 환경이 부족한 아세안 국가들을 위해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고 또한 HPC 운영, 인공지능(AI) 기술 등 KISTI의 내부 역량을 활용하여 아세안 국가들의 디지털 기술 경쟁력 확보에 이바지할 예정이다. 까으 끔 후은(Kao Kim Hourn) 아세안 사무총장은 “이번 한국과 아세안과의 핵심 연구인프라인 HPC 구축 사업으로 아세안 국가의 디지털 및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라며, “더 나아가 한-아세안 간 지속적인 디지털 협력체계 구축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장근 주아세안 대표부 대사는 “2023년 한-아세안 정상회의를 통해 발표된 한-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프로젝트(KADIF)가 이번 행사를 계기로 실질적인 첫발을 뗀 것을 축하하면서, HPC 구축을 통해 기존에 없었던 한-아세안 간 디지털 혁신 인프라 사업의 새 기회를 창출하고 연구 기능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협력 모델을 정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KISTI 이식 원장은 “이번 KISTI-아세안 데이터 활용을 위한 HPC 인프라 구축을 통한 아세안 국가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 한-아세안 과학기술 협력의 토대를 마련하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출처: https://www.kisti.re.kr/promote/post/news/6657;jsessionid=a1oDJHZoou3hPIxkhzpKEmBZkPviXNLESic1MUCf5oOsOjVmvrlE9EhktBRXMPpR.al211_servlet_engine23# [관련기사 바로가기]  韓 슈퍼컴퓨터 기술, 아세안 과학기술 발전 지원한다_아시아경제(2025.03.12.) KISTI, 아세안 데이터 활용 위한 HPC 등 인프라 구축 기념행사_금강일보(2025.03.11.) KISTI, 아세안 데이터 활용 위한 HPC 등 인프라 구축 기념행사 개최_전자일보(2025.03.11.) KISTI, 아세안 디지털 역량 강화 'HPC 인프라' 구축_쿠키뉴스(2025.03.11.) KISTI, 아세안 데이터 활용을 위한 HPC 등 인프라 구축 기념행사 개최_충청뉴스(2025.03.11.) 韓-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프로젝트 본격화_천지일보(2025.03.11.) 과기정통부, 印尼서 아세안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사업 착수_디지털타임스(2025.03.11.) 아세안 회원국에 韓 초고성능컴퓨터 인프라 구축 경험 전수_이데일리(2025.03.11.) KISTI, 아세안 국가에 '韓 기술력 바탕' 초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_머니투데이(2025.03.11.) 과기정통부, 인도네시아에 '아세안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 착수_디지털투데이(2025.03.11.) KISTI, 아세안 국가에 HPC·AI 인프라 "이식"_지디넷코리아(2025.03.11.) 韓-아세안, ‘디지털혁신 플래그십 프로젝트’ 본격화_헤럴드경제(2025.03.11.) 과기정통부, '아세안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 착수_뉴스웍스(2025.03.11.) 과기정통부, 인니에 '아세안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 착수_뉴스1(2025.03.11.) 정부, 인니에 韓 AI 반도체 적용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_뉴시스(2025.03.11.) 과기정통부, 인니에 '아세안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_연합뉴스(2025.03.11.) 과기정통부, 아세안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 착수_데일리안(2025.03.11.) 한-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프로젝트 본격화_이뉴스투데이(2025.03.11.)

  • KISTI, '국가데이터 교환노드' 수도권 거점노드 오픈 기념식 개최 2024. 12. 18 View. 23608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수도권 거점노드 오프닝 기념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지난 22일 안양 LG유플러스 평촌메가센터에서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수도권 거점노드 구축과 관련해 LG유플러스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오프닝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번 기념식은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 2023년부터 추진 중인 국가데이터교환노드 구축 및 개발 사업의 일환이다. 2023년 글로벌 데이터 교환을 위한 부산광역권 거점노드 구축에 이어 두 번째 거점노드인 수도권 거점노드가 구축된 엘지유플러스 평촌메가센터에서 진행됐다. 행사에서는 수도권 거점노드의 구축을 축하하며 KISTI와 LG유플러스간 지속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및 현판식이 진행됐다. 업무협약은 KISTI의 국가데이터교환노드 사업의 인프라 구축 및 운영, 그리고 AI분야 협력 증진에 대한 상호 협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세부 협력 분야로 NDeX 수도권 거점노드 구축·운영을 위한 상면 및 초고성능 네트워크 인프라 협력, NDeX 노드를 통한 국내외 민간 클라우드사업자와의 연결 협력, AI인프라 및 AI플랫폼 솔루션 및 구축운영 협력, IDC설계/구축/운영 수요 발생시 협력, 기타 관심 사항에 대한 상호 협력 등을 포함하였다. KISTI는 국가데이터교환노드 사업을 통해 상용망과 연구망이 모두 참여하는 데이터 공유 및 전송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민·관의 다양한 주체가 서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3개 광역권 거점노드를 구축하여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초고성능컴퓨팅 공동활용 네트워크, 민간 클라우드 네트워크, 글로벌 과학연구데이터 허브 등 여러 종류의 데이터 네트워크 간을 직접 연동하여 대용량 공공·연구 데이터의 안전한 고속 전송 및 처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혁로 KISTI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장은 “작년에 부산에 구축된 시범 거점노드와 이번에 새롭게 구축된 수도권 거점노드를 기반으로 국내외의 대규모 데이터 공급자 및 수요자 네트워크들을 서로 연결해 나갈 예정이며, 향후 국내외 연동망 구축과 민간 클라우드 연계를 위한 LG유플러스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전자신문 뉴스 전문보기] https://www.etnews.com/20241125000416 관련기사 :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 원문으로 링크됩니다.)    과기정보연·LG유플러스 ‘국가데이터교환 수도권 거점노드’ 협약 (2024.11.25.)_뉴스1 KISTI, 국가데이터교환노드 수도권 거점노드 업무협약 체결 (2024.11.25.)_금강일보 KISTI, 국가데이터교환노드 수도권 거점노드 업무협약 (2024.11.25.)_충청뉴스 KISTI, LG유플러스 평촌에 '국가데이터교환노드' 인프라 구축 (2024.11.25.)_지디넷코리아

  • 과기정보연, 2∼4일 부산서 ‘KREONET 워크숍 2024’ 연다 2024. 12. 16 View. 23520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새로운 도약 위한 비전 제시(대전=뉴스1) 김태진 기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2~4일 부산 해운대 한화리조트에서 '디지털 혁신과 과학 발견을 가속화하기 위한 테라 크레오넷을 넘어서'를 주제로 ‘KREONET Workshop 2024’를 개최한다.  KISTI는 이를 통해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비전을 제시하고 인공지능(AI) 시대 맞춤형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한 다양한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KREONET은 1988년 연구전산망으로 시작해 현재 테라급 국가과학기술연구망으로 성장,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이 초고속 네트워킹을 통해 연구데이터 공유를 통한 글로벌 연구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연구 인프라다.이번 워크숍은 AI, 빅데이터, 슈퍼컴퓨팅, 양자 등 디지털 혁명이 가속화하면서 국가의 미래 성장을 위해 기술 주도권 확보 경쟁이 치열한 시대에 연구개발(R&D)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KREONET의 현재를 살펴보고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데우스 류기훈 대표의 기조강연자로 나서 'AI 빅뱅으로 인한 데이터센터 글로벌 동향 및 대한민국의 산업활성화 전략'을 주제로 발표한다.이어 Rebellions 조부승 센터장은 'Trust & KREONE'을 통해 신뢰라는 자산을 기반으로 한 미래 KREONET 발전 전략을 공유한다.이 밖에도 참가자들은 패널토론을 통해 향후 AI 시대 KREONET의 대응 전략을 논의한다.또 AI 기반의 망운영 솔루션 및 자동화 기술, 차세대 무선연구망 기술,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 기술, 양자정보기술 등 최신 기술 동향 등을 다룬다.이식 KISTI 원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KREONET이 AI, 빅데이터와 융합해 새로운 과학적 발견은 물론 국가 사회 현안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국가 연구개발 생태계의 핵심 인프라로서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국가전략기술 혁신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memory4444444@news1.kr[뉴스1 기사 전문보기] 과기정보연, 2~4일 부산서 'KREONET 워크숍 2024' 연다.관련기사 :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 원문으로 링크됩니다.)   KISTI, KREONET 워크숍 2024 개최(2024.12.02.)_충청뉴스​KISTI, 4일까지 부산에서 KREONET 워크숍 2024 개최(2024.12.02.)_전자신문KISTI, 'AI 시대 맞춤형 연구 논의' KREONET 워크숍 2024 개최(2024.12.03.)_이코노미사이언스

  • KISTI, 시에나 기술 활용 亞 최초 600G 연구망 구축 2024. 04. 08 View. 24194

    전국 200곳 이상 교육 기관·산업체 연구소 및 실험실 간 초고속 연구망 구현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아시아 최초로 전국을 아우르는 600G 연구망을 성공적으로 출범시켰다.KISTI 연구망은 시에나 6500 플랫폼 기반 '웨이브로직5 익스트림(WL5e)' 800Gbps 프로그래머블 코히어런트 광기술을 탑재했다. 연구개발 분야와 디지털 혁신 분야에서 한국이 선도적 위치를 굳건히 하는데 한 축을 담당할 예정이다.시에나 로고KISTI는 최근 페타급 혹은 엑사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집약형 연구가 늘어나면서 회원 기관들이 수행하는 많은 연구 작업에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해졌다. 조부승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회원 기관간 초고속 국가과학연구기술망인 KREONET을 지원함으로써 국내 및 국제 협업 연구 환경을 구현하여 초고속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는 최첨단 과학기술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면서 “600G 연구망은 국내외 회원 기관이 필요로 하는 용량과 높은 대역폭 수요를 지원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이번에 구축한 연구망은 아시아 최초로 장거리 600G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구용 네트워크다. 시에나 6500 플랫폼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KISTI는 KREONET 회원 기관 및 영역별 최첨단 연구에 필요한 예측 불가능 네트워크 수요에 한 발 앞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게 됐다. KISTI는 시에나 WL 코히어런트 기술을 적용한 연구망을 통해 광 네트워크 성능 강화 및 전력 사용률 최적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김인성 시에나 북아시아 총괄 지사장은 “5G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출시한 것과 같이 한국은 디지털 혁신 분야의 리더”라면서 “연구원들이 더 혁신하고 동료들과 더 협업할 수 있도록 시에나는 WL 코히어런트 기술을 발전시켜 첨단 네트워크 인프라 역량 강화를 지속 돕겠다”라고 말했다.김정희 기자 jhakim@etnews.com [뉴스 전문보기] KISTI, 시에나 기술 활용 亞 최초 600G 연구망 구축 - 전자신문 (etnews.com)

  • 과기정보연 "5G+ 과기 특화연구망 인프라 개발 중요" 2024. 01. 17 View. 26451

    KISTI 이슈브리프 제65호 웹이미지.(KISTI 제공)/뉴스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5G+ 첨단무선망 기반의 과학기술 특화연구망 구축 동향과 발전 방안을 담은 'KISTI 이슈브리프(65호)'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5G+기반의 과학기술 특화연구망은 과학기술 연구 및 디지털 융합에 특화된 첨단 무선망 기반의 연구망으로, 기존의 국내외 과학기술연구망이 제공하는 첨단유선망 인프라와 통합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중심의 무선 접속망 인프라와 기술 및 서비스를 포함한다.디지털 대전환기에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AI)의 연계·융합을 위한 핵심기술인 5G 및 6G 기술이 경제 성장의 신서비스 원천으로 작용함에 따라 과학기술계를 위한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과학기술·디지털융합 서비스 및 핵심기술 개발 요구가 커지고 있다.증가하는 다양한 첨단 과학기술 무선 장치와 단말을 수용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출연연, 대학 등의 차세대 무선망 인프라 구축 수요가 증가하면서 과학기술계를 위한 전용의 첨단무선망 구축, 개발과 고도화 필요성이 강조된다.해외의 경우 미국과 유럽, 일본 등에서 국가적 과학기술디지털융합 프로젝트 및 첨단 기술 개발을 통해  5G 및 6G 인프라 구축과 연구개발, 서비스 제공을 추진하고 있다.국내 과학기술연구망 사용자들 역시 첨단무선망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상황이다.이에 KISTI는 과학기술연구망의 활용과 협력을 위한 첨단무선망 수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저비용, 경량화, 지능화 첨단무선망 구축·제공 측명을 고려해 5G+ 기반의 기술 개발 아이템을 도출한 후 첨단 과학기술 및 디지털융합 시범 서비스 계획을 수립했다.또 5G+ 과학기술 특화연구망의 개발 방향과 기대효과를 제안함으로써 '차세대 네트워크(6G)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선택과 집중','과학기술계 및 산업계의 디지털 전환 촉진', '저비용·초고속·저지연 특화연구망을 통한 공공적 파급효과' 측면의 논의를 촉진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김재수 KISTI 원장은 "국가적 대계인 디지털 전환의 완성을 위해 출연연, 대학, 산업체와 협력을 통한 5G+ 과학기술 특화연구망 인프라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뉴스전문보기] 이슈브리프 보고서 보기>>>  https://www.kisti.re.kr/post/issuebrief/6264?t=1705458305830 

  • KISTI, 2023 KREONET 워크숍 개최…테라급 연구망 시대 '개막' 2023. 11. 28 View. 2613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원장 김재수)은 1~3일 사흘 간 제주에서 2023년도 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워크숍을 개최했다.2023년도 KREONET 워크숍 주제는 '디지털 전환과 사이언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테라급 국가연구망의 출범(Unveiling)'이다.테라급 국가연구망 구축과 핵심기술개발은 KISTI의 국가적인 미션을 달성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디지털 전환, 오픈 사이언스 중심의 대규모 데이터 공유, 활용, 촉진을 통한 국가 DNA 인프라 구축, 그리고 데이터와 디지털 기반 연구개발(R&D) 혁신을 선도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워크숍에서는 테라급 연구망을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 기반 미래융합기술, 유럽입자물리연구소 가속기 네트워크, 미래인터넷 아키텍처-SCION(사이언), 첨단광통신, 거대언어모델, AI 및 네트워크 자동화, 5G·6G, 양자센싱,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등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을 포함한 첨단 ICT 기술의 발표가 이뤄졌다.그리고 범국가적인 기초 및 응용과학, 교육, 문화예술, 의료, 첨단 IC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 네트워킹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과학적 발견, 즉 사이언스 디스커버리를 가능하게 하고자 다양한 산학연 전문가들의 논의가 진행됐다.특히 제주도는 이번 워크숍에 참여하여 국가과학기술혁신을 위해 테라급 연구망을 활용해 대한민국의 디지털대전환을 촉진할 수 있다.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주위성추적소와 국가위성통합운영센터, 한국천문연구원의 탐라전파망원경, 제주대학교 첨단연구와 한화시스템 우주센터까지 다양한 첨단과학기술협업연구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조부승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최근 거대과학분야의 대규모 데이터 전송 요구에 발맞추기 위해서 미래 수요에 대응하는 테라급 네트워킹 인프라 확충과 고도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거대과학연구를 촉진하고, 관련 연구자들과 주요 관측시설 및 실험장비의 연계와 협업 연구를 최적화된 기술과 환경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김재수 KISTI 원장은 “KISTI는 과학기술정보분야의 과학기술 데이터 최고 책임기관으로서 핵심 과학기술 인프라인 국가연구망을 세계적 수준으로 구축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테라급 연구망 인프라는 앞으로 국가적 미션인 데이터와 디지털 연구개발 혁신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전자신문 전문 보기] https://www.etnews.com/20231105000220관련기사 :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 원문으로 링크됩니다.)   KISTI, 2023 KREONET 워크숍 개최(2023.11.04)_BBS NEWSKISTI, 2023 크레오넷 워크숍 개최…"테라급 연구망 시대 개막"(2023.11.03.)_이뉴스투데이KISTI, 제주서 KREONET 워크숍 개최…'테라급' 연구망 시대 개막(2023.11.03.)_디지털데일리KISTI, 2023 KREONET 워크숍 개최(2023.11.03.)_충청뉴스과기정보연, 과학기술연구망 워크숍...테라급 연구망 시대 개막 선언(2023.11.03.)_news1

  • 동국대-노스웨스턴대 공동 연구팀, KREONET을 활용한 폐의 재생능력 줄기세포 분화 메... 2023. 08. 31 View. 27143

    손상된 폐 되살리는 '재생능력 메커니즘' 규명됐다  ■ 노스웨스턴대-동국대 공동 연구팀 폐의 재생능력을 되살리는 줄기세포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국내와 해외 공동 연구진이 폐의 재생능력을 되살릴 수 있는 줄기세포 분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심해지는 대기오염으로 폐질환 환자가 늘고 있어 이번 치료법 개발이 더욱 주목 받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승혜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와 이민호 동국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세포가 사용하는 에너지를 생산하는 미토콘드리아가 폐줄기세포의 기능과 분화를 조절하는 신호 전달 기능이 있음을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2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됐다.폐는 한 번 손상되면 다시 살려내기 힘들어 재생 능력을 촉진하는 치료법 개발이 시급하다. 과학계에선 폐줄기세포의 기능과 분화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찾는 것이 주요 과제였다.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에 따른 쥐의 폐조직 변화. 한국연구재단 제공연구팀은 만성폐질환 및 폐렴 환자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에 주목해, 이러한 기능 저하 현상이 폐줄기세포 분화에 관여하는지 확인했다. 연구팀은 우선 특정 유전자 기능이 조작하지 않도록 만든 실험용 쥐를 이용해 발생기간 동안 폐상피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 기능을 제거했다. 이를 통해 쥐가 호흡부전으로 사망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폐조직에 대한 단일세포 전사체분석도 수행했다. 그 결과 미토콘드리아가 통합 스트레스 반응(ISR)에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 기능이 상실되었을 때 ISR이 매우 높게 활성화된 반면 ISR 억제제를 투여받은 녹아웃 쥐는 대부분 살아남았고 비정상적 폐구조도 교정됐다. 미토콘드리아가 세포 내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능 외에도 세포의 기능과 분화를 조절하는 신호 전달 기능이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연구팀은 나아가 폐 세포 내에서 미토콘드리아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ISR이 활성화되는 것을 막아 폐줄기세포 분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연구팀은 “폐질환 환자들의 미토콘드리아 ISR을 조절해 폐줄기세포 분화를 촉진하고 폐재생을 증진하는 방식의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출처 : 동아사이언스/ 박정연 기자뉴스 바로가기 >>> 손상된 폐 되살리는 '재생능력 메커니즘' 규명됐다 : 동아사이언스 (dongascience.com)네이처 게재 - Mitochondrial integrated stress response controls lung epithelial cell fate  바로가기 >>> Mitochondrial integrated stress response controls lung epithelial cell fate | Nature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서울대학교 간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평창지역망센터 양... 2023. 05. 16 View. 29804

    [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평창지역망센터 협약식] (좌)김재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우)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서울대학교(총장 유홍림, 이하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강원도 평창 지역의 국가 과학기술 R&D 활성화를 위해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이하, KREONET) 지역망센터 설립에 관한 업무협약 및 개소식을 5월 9일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에서 진행하였다.  KREONET은 국가 5대 기간전산망('83.3) 중 하나인 ‘연구전산망사업’(‘88년)을 시작하여, 정부출연기관, 정부·공공기관, 고등교육기관, 산업체연구기관, 학·협회 등 200여개 기관에게 고성능, 고품질의 연구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혁신적인 국가 연구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초고성능 국가 연구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전국 18개 지역망센터를 운영중이다.[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평창지역망센터 협약식] (좌)김재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우)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인해 서울대 평창캠퍼스는 강원도 평창 지역의 핵심 교육기관으로 KREONET의 첨단 연구 인프라를 평창지역에 지원함으로서 평창권 미래 스마트 농업 분야는 물론 및 천문/우주 등의 첨단연구 분야 연구를 추진하는데 큰 역할을 할 전망이다.   또한, KISTI의 KREONET 등 첨단 R&D 인프라 제공으로 서울대 평창캠퍼스가 지역거점 대학으로서 그린바이오 과학기반 학·연·산 협력을 매개하고, 서울대학교 광학관측소 및 한국천문연구원의 KVN(Korean VLBI Network; 한국우주전파관측망) 운영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교 있다.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은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평창지역망센터 설치를 계기로 첨단 ICT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지역사회 혁신과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을 더 넓힐 수 있을 것 ”고 말했다.   김재수 한국과학기술정보원장은 “KREONET의 18번째 지역망센터인 평창지역망센터 개소를 통해 테라급 국가과학기술연구망 구축 및 안정적 서비스를 발판으로 강원 평창 및 국내 연구자들에게 세계 최고 수준의 과학기술 연구망을 제공하기 위해 앞으로도 끊임없이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평창지역망센터 개소식 ](좌)서울대학교 관계자, (우)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관계자관련기사 :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 원문으로 링크됩니다.)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평창지역망센터 개소…서울대와 MOU도 체결(2023.05.10)_전자신문KISTI, KREONET 지역망센터 개소식-서울대와 업무협약 체결(2023.05.10)_BBS NEWSKISTI, 서울대 평창캠퍼스 '국가과학기술연구망' 개소(2023.05.10)_NEWSIS국가과학기술연구망 평창지역망센터 개소(2023.05.10)_아이뉴스24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평창에 지원…스마트농업·천문 연구 추진(2023.05.10)_헤럴드경제과기정보연,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평창지역망센터 개소(2023.05.10_NEWS1강원 평창에 과기연구망…18번째 지역망센터 개소(2023.05.10)_디지털타임스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평창지역망센터 개소(2023.05.10)_충청뉴스과학기술정보원, 서울대와 천문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2023.05.10)_중앙일보

  • Expansion of the Asiapacific-Europe Ring (AER) wit... 2023. 03. 20 View. 27785

     KISTI joins the Asiapacific-Europe Ring (AER) to enhance research collaborations and resilient network connectivity(Reproduced from AER press release, issued 14 Mar 2023, in Nepal)KISTI has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ith AER to become the newest member of the collaborative AER network, joining other prominent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s in the Asia-Pacific and Europe region. The signing ceremony was held today at the APAN55 Meeting in Nepal. Buseung Cho, Director of KREONET Center, KISTI, represented KISTI, to sign this MoU with Professor Lee Bu Sung, Chair of the AER Steering Group.KISTI’s entrance not only expands the AER’s partnership but also adds a significant level of resilience to the 100G network ring. KISTI’s advanced network infrastructure and expertise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services will strengthen the AER backbone within East Asia and Europe, fostering greater collaboration and scientific advancements across the regions.As a new AER member, KISTI will bring with it a new network connection and research community to strengthen the AER backbone within East Asia and to Europe. The institute has recently procured a 100Gbit/s connection between Daejeon, Republic of Korea and Singapore, and from Singapore to Amsterdam, The Netherlands. This will provide greater network resilience as well as faster connectivity between the research communities and institutions in the region and with Europe.The initial AER MoU, signed in July 2019, set up a cooperative arrangement for leading-edge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s (RENs) with 100G connectivity between Europe and Asia to provide back up for each other in the event of any link failure, thereby creating an extremely robust and resilient 100G network ring.Besides leveraging on the rich network topology to build multiple paths and provide network backup resilience between the various member RENs and research institutions, the agreement includes the coordination of engineering and management activities, cooperation on deployment of emerging network technologies and services, and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s with high bandwidth demands. It will also facilitate shared routing practices, and the sharing of measurement data. This inclusion of KISTI into the Asiapacific-Europe Ring (AER) alongside its original members AARNet, GÉANT, HARNET, KAUST, NICT, NII, NORDUnet, SingAREN, SURF, and TEIN*CC, marks a significant and exciting milestone in building a more resilient, high-speed network services delivery system to benefit researchers globally. The expansion of the AER with the addition of KISTI reflects the growing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connectivity in research and education.Besides exploring new opportunities to advance research and education across the Asia-Pacific and Europe region, the expanded and strengthened AER network can leverage collective expertise and resources to enable researchers and academics to collaborate seamlessly, share knowledge and data, address global challenges and accelerate ground-breaking scientific discoveries for the benefit of society.“KREONET, with its international and local connectivity, is very excited to join AER to further strengthen the resiliency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connectivity; we look forward to  contributing to global research collaborations together with great partners”, said Dr Buseung Cho, Director of KREONET.“KISTI has always been an active member in the community. The signing of this MoU reflects the spirit of working together in our community in support of the ever growing needs of collaborative research and education between Asia and Europe”, said  Professor Lee Bu Sung, Chair of AER Steering Committee.About the partnersAARNet is Australia’s 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  AARNet is a licensed telecommunications carrier, owned by the Australian Universities and CSIRO. The AARNet network connects more than two million users: researchers, faculty, staff and students, to the commercial internet and to their peers around the world through its own extensive national and international network. For more information, visit aarnet.edu.au or follow @aarnet on twitter.GÉANT is the collaboration of European 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s (NRENs). Together we deliver an information ecosystem of infrastructure and services to advance research, education, and innovation on a global scale. For more information, visit geant.org or follow @GEANTnews on Twitter.HARNET (the Hong Kong Academic and Research NETwork) is operated by Joint Universities Computer Centre (JUCC), which is a wide area network that links up the campus networks of the eight tertiary institutions in Hong Kong and connects them to the global Research and Education community. JUCC is a non-profit making organization founded in 1970 to promote the development, deployment, oper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of advance network infrastructure for innovation, research and education excellence in Hong Kong. Please visit https://www.jucc.edu.hk/ for more information.KAUST,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dvances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distinctive and collaborative research integrated with graduate education. Located on the Red Sea coast in Saudi Arabia, KAUST conducts curiosity-driven and goal-oriented research to address global challenges related to food, water, energy, and the environment. Established in 2009, KAUST is a catalyst for innovation,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prosperity in Saudi Arabia and the world. The University currently educates and trains master’s and doctoral students, supported by an academic community of faculty members, postdoctoral fellows and research scientists. With over 100 nationalities working and living at KAUST, the University brings together people and ideas from all over the world.KISTI, a leading research institute in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leads open science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infrastructure, digital-based R&D innovation and new growth engines with world-class supercomputing, networking and data analysis technology. KISTI has operated KREONET, the national research and science network of Korea, since 1988 and been a core cyber infrastructure to enable and accelerate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but also new scientific discoveries in data-intensive big science.NICT is Japan’s sol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specializing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NICT is charged with promoting ICT sector as well as research and development in ICT, which drives economic growth and creates an affluent, safe and secure society.NII,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NII) operates the Science Information Network (SINET), that connects about 1,000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throughout Japan via nationwide access points. SINET also has international lines to Europe, Asia, and USA to facilitate global collaboration in research and education.NORDUnet is the Nordic Gateway for Research and Education, a joint collaboration by the 5 Nordic National Research & Education Networks in Denmark (DeiC), Finland (Funet), Iceland (RHnet), Norway (Sikt), and Sweden (SUNET).SingAREN is Singapore’s 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R&E) Network and the sole provider of local and international networks dedicated to serving the R&E community in Singapore. SingAREN facilitates high-speed transfers of large datasets, both domestically and across international boundaries, for scientific research and enables advanced network technology demonstrations through its resilient links and high-speed fibre network. The SingAREN Open Exchange (SOE) interconnects Singapore’s R&E community to the R&E networks in other countries, including Asia, Australia, Europe and the U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singaren.net.sgSURF is a cooperative association of Dutch educational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which the members combine their strengths to enable reliable and innovative ICT facilities.  SURF encourages the formation of the ecosystems in which members and their stakeholders collaborate, innovate and share knowledge, based on shared values and agreements. SURF forges strong coalitions for procurement and service development. SURF provides infrastructure, services, and expertise that are essential to the sovereignty and international standards of education and research.TEIN*CC is a non-profit foundation for managing Asi@Connect, a co-funded project of the EU and Asia-Pacific Partners. Asi@Connect provides a dedicated regional high capacity and high-quality internet network, Trans-Eurasia Information Network (TEIN), for research and education (R&E) communities across Asia-Pacific and Europe, and leverages e-infrastructures developed for public service projects. TEIN*CC actively collaborates with other regional R&E network organisations around the world to provide better opportunities for research and education to the TEIN community.출처 : GÉANT (geant.org) 관련기사 전문 바로가기  <<클릭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