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초고성능 국가 데이터 네트워크, KREONET

총 게시글 281 RSS
  • [연구망소식] KREONET 천문우주분야 KVN(한국우주전파관측망) 거대연구 전문가 포커스... 2022. 05. 04 View. 47287

     4월 26일 KREONET의 천문우주분야 대표적인 거대연구인 KVN(한국우주전파관측망)에 대한 전문가 포커스 그룹 미팅이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에서 개최되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원구원 과학기술연구망센터, 한국천문연구원 KVN그룹, 서울대학교 천문학과에서 한자리에 모여, 한국천문연구원의 4번째 전파천문대가 건설되고 있는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에서 건설 현장 방문은 물론 향후 KREONET을 통한 Next Generation EHT 관측을 포함한 대형 관측 연구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였다.이번 방문을 통해 KREONET의 18번째 지역망센터인 평창 지역망센터(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의 설립을 추진을 위한 상호 협력 회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에 건설중인 한국천문연구원 전파망원경의 활용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였다.

  • [안내][공모종료] 2022년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첨단망 연구지원 대상기관 공모(완료안내) 2022. 05. 02 View. 43962

    관련글 : [안내][공모] 2022년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첨단망 연구지원 대상기관 공모안녕하십니까.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사무국 입니다.2022년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첨단망 선정평가가 완료되었음을 안내 드립니다. 세부 결과에 대해서는 '2022 KREONET 첨단망 활용계획서'에 기재해주신 메일로 안내드렸습니다.기타 첨단망 관련 문의사항은 KREONET 사무국 (helpdesk@kreonet.net 042-869-0705)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붙임 : [공문] 2022년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첨단망 선정평가 결과 송부의 건국가과학기술연구망 사무국

  • [안내] 분야별 초고성능컴퓨팅센터 지정 공고 2022. 04. 06 View. 52746

    분야별 초고성능컴퓨팅센터 지정 공고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공공서비스, R&D 등 초고성능컴퓨터의 전문적 활용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분야별 초고성능컴퓨팅센터(이하, 전문센터) 지정을 아래와 같이 공고하오니 관심 있는 기관 및 기업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2022년 4월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임  혜  숙1. 전문센터 지정 개요 □ 전문센터 정의   ㅇ “전문센터”란 초고성능컴퓨터의 전문적 활용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해당 분야에 특화된 자원, 인력, 기술을 기반으로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해당 분야 연구개발의 수행 및 초고성능컴퓨팅 활용을 활성화하는 초고성능컴퓨팅센터 □ 전문센터 기능 및 역할   ㅇ 분야별 초고성능컴퓨팅 자원의 구축ㆍ운영 및 서비스 제공    ㅇ 분야별 초고성능컴퓨팅 관련 기반ㆍ응용 연구 및 연구 성과의 확산   ㅇ 초고성능컴퓨팅 관련 대용량 데이터의 관리ㆍ운영 지원   ㅇ 인력양성, 기술개발 등의 초고성능컴퓨팅 활성화에 관한 업무   ㅇ 지정된 센터는 기획단계부터 공동활용 자원 확보, 서비스 환경 구축 등 공동활용체계 참여계획 수립 및 참여 의무화      - (공동활용 자원 확보) 각 분야에서 요구하는 초고성능컴퓨팅자원의 구축 시 국가 차원의 공동활용자원*을 확보하여 제공         * 정부가 정하는 바에 따라 기관이 구축하는 초고성능컴퓨팅 자원 대비 일정 비율을 공동활용 목적으로 추가 확보하여 국가 공동활용체계에 연동하여 제공      - (서비스 환경 구축) 자원의 공동활용을 위한 사용자 환경 구축 및 국가 공동활용체계 연동 서비스 구축         ※ 관련 : 국가초고성능컴퓨터 활용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9조의2(전문센터) □ 지정 목적   ㅇ 공공서비스, R&D 등 초고성능컴퓨터의 전문적 활용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전문센터 지정을 통한 분야별 초고성능컴퓨팅 인프라 확충 및 활용 확산         ※ 관련: 「국가초고성능컴퓨팅 혁신전략」 (‘21.5.28., 제3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    - 국내 초고성능컴퓨팅센터를 기능과 역할에 따라 체계화한 전문센터–단위센터를 실질화하고, 자원 구축 등 지원 확대         ※ 관련 : 국가초고성능컴퓨터 활용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9조의2(전문센터) □ 지원 대상 및 참여 방법   ㅇ (대상 기관) 해당 분야 공동활용의 필요・시급성이 인정되는 사업을 제안한 중앙행정기관, 국공립 연구기관, 대학교, 민간기업 및 민간단체   ㅇ (참여 방법) 지원 기관 단독으로 공고된 절차에 따라 지정 신청         ※ 서비스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해 전문센터인 주관기관 외에 협력기관 참여 가능 □ 지정방안   ㅇ (지정 분야 및 규모) 10대 국가 전략 분야*와 연계, OO개 지정 예정      - 1분야–1전문센터 원칙으로 전략적 필요성, 후보기관의 적격성 등을 고려해 선정(분야內→분야間 경쟁順)        * ①소재‧나노, ②생명‧보건, ③ICT, ④기상‧기후‧환경, ⑤자율주행, ⑥우주, ⑦핵융합‧가속기, ⑧제조기반기술, ⑨재난‧재해, 국방‧안보        ※ 지정 분야는 활용수요와 미래트렌드를 종합 고려하여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정책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음   ㅇ (지정 요건) 초고성능컴퓨팅자원 활용 및 육성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인력‧설비를 갖추고, 관련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 데이터관리, 연구지원 등의        사업을 수행한 실적‧경험이 있는 기관(초고성능컴퓨터법 시행령 제12조)  ○ (인력) 초고성능컴퓨팅자원 운영 및 서비스 전문인력 4인 이상 보유○ (설비) 운영 중인 초고성능컴퓨터(서버 기준 150만불 이상) 보유○ (실적‧경험) 최근 3년 내 초고성능컴퓨팅 관련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 데이터관리, 연구지원 사업 수행 실적 보유 (지정분야 실적 우선) ※ 정해진 요건을 갖추지 못한 기관 중 전문센터 지정을 희망하는 기관도 운영계획서를 작성하여 신청할 수 있으며, 향후 센터 육성 필요성에 따라 예비지정, 예비지정 후 3년 내 미충족 요건 충족 시 ‘예비지정’ → ‘지정’으로 전환. 단, 3년 후 요건 미충족 시 지정해제       ㅇ (지정 기간) 지정일로부터 5년     - 센터 운영계획에 따른 운영성과평가를 지정 후 3+2년 주기*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센터 지정을 취소·재지정       * 3년차 중간평가, 5년차 종합평가 □ 평가 절차 및 기준   ㅇ (평가 절차) 자격 요건 확인 → 서면심사 → 대면심사(필요시 현장실사 병행) → 평가결과 및 지정 추천기관 확정(심사단)        → 국가초고성능컴퓨팅위원회에서 검토 후 최종 선정   ※ 센터지정 및 심사방법에 따라 서면 및 대면심사를 통합하여 실시하되, 필요 시 현장실사를 병행 실시할 수 있음   ※ 전문가 심사단 구성 등은 국가센터에서 지원     ㅇ (평가 기준) 운영목적 및 계획의 타당성, 센터 인력의 적정성, 시설 및 장비 확충 계획, 센터 운영비전 및 추진의지 등을 종합 평가2. 제출방법 및 제출서류 □ 제출방법 및 절차     ㅇ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천기술과로 전자공문으로 제출       ※ 전자공문 제출이 어려운 경우 공문을 첨부하여 이메일(tube9540@korea.kr)로 제출                               □ 제출서류   ㅇ 분야별 초고성능컴퓨팅센터 지정 신청서 및 관련 양식3. 제출기간 및 제출 시 유의사항                               □ 제출기간 : 2022.4.5.(화) ~ 5.4.(수) 18시까지 (30일간)                               □ 유의사항   ㅇ ‘분야별 초고성능컴퓨팅센터 지정 신청서’ 및 관련 첨부서류*를 반드시 제출     * 전문센터 운영계획서, 초고성능컴퓨팅 시설 및 인력 보유 현황(계획), 초고성능컴퓨팅 관련 사업 실적   ㅇ 제출 접수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4. 향후일정                               □ 설명회 : 4월 12일(화), 14:00~16:00   ㅇ 장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전 본원 (온라인 설명회 병행)      ※ 참석 희망기관은 아래 문의처로 사전신청 권고 (사전신청 기관에 한해 온라인 접속주소 안내예정)                               □ 전문센터 선정평가 : 5월 중                               □ 전문센터 지정·운영 개시 : 6월 중      ※ 상기 일정 및 내용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5. 문의처   ㅇ (정책 관련 문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천기술과     - ☎ 044-202-4548, (e-mail) tube9540@korea.kr   ㅇ (서류작성 문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고성능컴퓨팅정책센터     - ☎ 042-869-0580, (e-mail) jaehahm@kisti.re.kr붙임. 분야별 초고성능컴퓨팅센터 지정 신청서

  • [안내] 2022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KrIGF) 워크숍 세션 공모 2022. 04. 06 View. 52555

     [ 2022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KrlGF) 워크숍 세션 공모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Internet Governance Forum, IGF)은 정부, 기업, 시민사회, 학계, 기술 커뮤니티, 이용자 등 다자간(multi-stakeholder)의 정책 대화를 위해 만들어진 포럼입니다. IGF는 2006년 이후 매해 개최되고 있으며, 인터넷 관련 공공정책 이슈와 관련하여 ① 다양한 이해당사자 간 대화촉진 ② 인터넷 관련 이슈파악 ③ 개발도상국 및 새로운 참여자의 정책역량 강화에큰 역할을 해온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한국IGF)은 인터넷 관련 공공정책 이슈와 관련하여 정부, 기업, 시민사회, 학계, 기술커뮤니티, 이용자 등 국내 다양한 이해당사자들 간의 대화와 토론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주요 인터넷 거버넌스 이슈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시민들이 인터넷 정책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더불어, 아태지역 IGF 및 세계 IGF와의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한국의 이해당사자들이 지역 및 세계적 차원의 논의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한국IGF는 지난 2013년부터 매해 개최되고 있으며, 2018년 2월 IGF에 의해 공식 인정되었습니다.   올해는 7월15일(예정) 2022년 한국IGF가 개최될 예정입니다. COVID-19로 인하여 온/오프라인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추후 변동될 수 있음)   한국IGF의 프로그램은 여러분들의 참여와 협력을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이에 2022년 한국 IGF에서 논의될 워크숍을 제안 받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외 인터넷거버넌스와 관련하여 여러 이해당사자들 간 논의가 필요한 어떠한 주제라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제안서 작성시 다양한 시의적인 이슈, IGF, AprIGF 및 지난 KrIGF의 워크숍 주제 참고   지난 한국 IGF 행사에 대한 자세한 자료는 한국 인터넷거버넌스포럼 홈페이지의 2021년 보고서(http://igf.or.kr/3087)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GF (https://www.intgovforum.org/en/content/igf-2021-outputs)와 AprIGF (https://ap.rigf.asia/#2021synthesis)홈페이지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워크숍 제안기간은 2021년 5월 3일 ~ 6월 7일이며 제안된 워크숍은 한국 IGF 프로그램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최종 선정됩니다. 아래의 양식으로 온라인 제출해주시고, 워크숍을 제안하시기 전에 을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문의처 : KrIGF 사무국 김학진 대리(krigf@kiga.or.kr, 02-3446-5936)

  • [안내] 한국정보처리학회 ASK 2022(춘계학술발표대회) 2022. 04. 06 View. 53665

      한국정보처리학회 ASK 2022(춘계학술발표대회) 일자 : 2022년 5월 19일(목) ~ 21일(토) 장소 : 숙명여자대학교(온·오프라인 병행)  홈페이지(논문제출) 바로가기 - http://www.kips.or.kr 한국정보처리학회는 18,000명이 넘는 회원과 350개 이상의 대학, 산업체 및 유관기관을 회 원기관으로 보유한 국내 최대 규모의 산‧학‧연 협력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전문 학회입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정보통신기술 혁신의 현재와 미래,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산‧학‧연 협력 모형을 논의할 수 있는 학술 교류의 장으로 한국정보처리학회 ASK 2022(춘계학술발표 대회)를 마련하였습니다. 최신 연구 분야의 연구 결과, 산업계 시스템 및 서비스 개발 사례, 상품 개발 아이디어, ICT 관련 정책 논의 등 활발한 학술 교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적극 적인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ㅁ 행사위원회-  대  회  장   : 강진모 회장(아이티센그룹 회장)-  수석부회장  : 문남미 교수(호서대학교)-  조직위원장  : 박영호 교수(숙명여대)-  조직부위원장 : 임유진 교수(숙명여대)-  학술위원장  : 길준민 교수(대구가톨릭대)-  학술부위원장 : 고영웅 교수(한림대), 김기범 본부장(국가보안기술연구소), 김병욱 교수(동신대), 김현희 교수(동덕여대), 박지수 교수(전주대), 박진호 교수(동국대),                      변태영 교수(대구가톨릭대), 성연식 교수(동국대), 신병석 교수(인하대), 윤주상 교수(동의대), 이덕규 교수(서원대), 이해연 교수(금오공과대),                     임동혁 교수(광운대), 조부승 교수(KISTI), 최유주 교수(SMIT), 한성수 교수(강원대), 한연희 교수(한국기술교육대), 황광일 교수(인천대)                   ㅁ 행사주요일정논문제출마감    2022년 4월  8일(금) 자정까지심사결과공지    2022년 5월  2일(월) 홈페이지 공고최종논문제출    2022년 5월  6일(금) 자정까지발표자사전등록  2022년 5월  6일(금) 자정까지 발표영상제출 2022년 5월 13일(금) 자정까지 ㅁ 행사내용 ⦁ 초청강연 / 튜토리얼 / 신진학자워크숍 / WiCSE Workshop / 개회식 및 임시총회 /   구두(대면) 발표 / 구두(동영상) 발표 / 포스터(in 메타버스) 발표     (본 내용은 필요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ㅁ 논문모집개요논문모집내용    정보처리 분야의 학술 논문, 학부생 캡스톤디자인 논문, 개발 성공 사례 및 개발 완료 또는 개발 중인 연구 과제 등 논문제출대상    관련분야 학부생 및 대학원생(외국인 및 파트타임 대학원생 포함), 교수, 연구자, 정부 및 공공기관 근무자 등논문발표분야    컴퓨터시스템 및 이론, 클라우드 컴퓨팅, 차세대 통신 시스템 및 네트워크, 사물인터넷, 정보보호, 개인정보보호, 블록체인, ICT융합,                    소프트웨어공학, 데이터 공학, 빅테이터, 인공지능, 메타버스 및 XR, 멀티미디어처리, 인간-컴퓨터상호작용, 웹사이언스 등논문작성방법    행사 홈페이지의 논문양식을 다운받아 샘플 중 하나로 작성(샘플참조) 논문제출방법    홈페이지 퀵메뉴 ASK 2022(춘계) 배너 클릭 후 [논문투고/심사/결과]  메뉴에서 로그인 후 제출 논문발표유형    구두(대면) 발표 / 구두(동영상) 발표 / 포스터(in 메타버스) 발표ㅁ 시상내용 ⦁ 채택 논문 중 최우수 및 우수 논문을 선정하여 총회에서 시상  ⦁ 최우수논문은 학회 영문지(SCOPUS, 등재지)에 우수논문은 학회 국문지(등재지)에 추천 예정 ⦁ 학부생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발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부생 논문경진대회를 개최하여 별도로 심사하여 시상(대상외 다수) 예정 ⦁ 학부생 캡스톤 경진대회 결과물도 제출 가능  ※ 학부생논문 경진대회 논문제출 및 캡스톤 경진대회 결과물은 학술대회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출 (고등학생, 학부생만 참여가능)ㅁ 논문 제출 요령 ⦁ 논문 발표자는 반드시 해당 회비를 납부한 학회 회원 이어야 하며, 회원기간이 유효한 분만 정 상 로그인 됩니다.    ※ 비회원인 경우 회원가입 -> 연회비 납부 -> 관리자의 승인 후 논문제출이 가능합니다.            : 정회원(교수 및 직장인) 6만원, 준회원(학부생, 대학원생) 4만원, 종신회원 60만원 ⦁ 신규 회원 가입 승인은 학회에서 해당 회비 입금 확인 후 수동(1~2일 소요)으로 이루어지므로 회원가입 정보 입력 및 해당 회비 납부 후 정상 로그인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모든 학술논문 및 제안은 학회 홈페이지(http://www.kips.or.kr)의 퀵메뉴에 링크되어 있는 「2021년 춘계학술발표대회」를 통해서만 upload받습니다.  ⦁ 논문은 반드시 행사 홈페이지에서 양식 download 후 그대로 사용하며, 한글 또는 MS Word 로만 작성합니다.  ⦁ 논문의 작성은 샘플 중 하나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4p 초과 시 게재불가) ⦁ 반드시 발표자 ID(발표자 중도 변경 불가)로 로그인 후 발표신청, 논문제출, 심사결과 확인, 최종논문 제출, 사전등록 등을 진행하며, 최종논문 제출마감 이후에는    논문의 제목 및 저자 명의 수정은 불가합니다. ㅁ 논문발표요령 ⦁ 발표유형은 구두(대면) 발표, 구두(동영상) 발표, 포스터(in 메타버스) 발표 등 총 3가지 유형 입니다. ⦁ 구두(대면) 발표는 빔프로젝터를 사용하며, 행사 당일 발표 자료를 파워포인트(ppt)로 작성하 시어 휴대용 메모리에 각자 저장하여 오시고 행사장에서 발표하시면 됩니다.  ⦁ 구두(동영상) 발표는 발표 영상을 촬영하신 후 동영상 파일을 사전에 제출해 주시면 됩니다. ⦁ 포스터(in 메타버스) 발표는 포스터 발표자료를 미리 제출하고, 행사일에 정해진 시간 동안 온라인상의 포스터 발표장(게더타운)에 위치해 주시면 됩니다.  ⦁ 정당한 사유 없이 논문 발표를 하지 않으면 추후 본 학회로의 논문 접수가 거절되므로 반드 시 발표하시기 바랍니다.   ※  발표자는 반드시 발표자 사전등록 마감일까지 등록 완료 및 최종 논문 제출을 하셔야 합니다. 미등 록 시 논문 제출이 취소되며, 논문집에 게재가 되지 않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ㅁ 참고사항 ⦁ 채택된 논문은 웹상의 공개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하며, 논문의 저작권 및 소유권은 게재가 승인된 날부터 한국정보처리학회에 있습니다. ⦁ 투고된 논문은 학술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채택 여부가 결정되며 모든 결정은 학회 회원들의 관심을 고려하여 학술위원회가 판단합니다. ⦁ 채택된 논문의 발표자는 사전등록 기간에 반드시 편당등록을 해야 하며, 미등록 시 논문집에 게재되지 않습니다. ⦁ 학술발표대회의 모든 발표 논문 및 튜토리얼 발표 자료는 pdf 파일로 제공됩니다.  ⦁ 기타 자세한 내용은 학회 홈페이지(http://www.kips.or.k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ㅁ 사전등록 사전등록 홈페이지 : http://www.kips.or.kr 퀵메뉴의 춘계학술발표대회 배너 메뉴  발표자 회원등록 기간 : 논문접수일 ~ 논문마감 전일까지(기 납부 회원 제외)  발표자 사전등록 기간 : 2022년 5월 2일(월) ~ 5월 6일(금) 자정까지                               ※ 채택된 논문의 발표자는 사전등록 기간에 반드시 편당등록  일반참가자 사전등록 기간 : 2022년 5월 2일(월) ~ 5월 17일(화) 자정까지ㅁ 문 의 처 ⦁ 논문제출 및 행사진행 : 표은영 사원 / Tel.02-2077-1414(내선 5) e-mail. ticket_0@kips.or.kr ⦁ 회원가입 및 납부증빙 : 윤영숙 과장 / Tel.02-2077-1414(내선 3) e-mail. ysyun@kips.or.kr 

  • [안내] KREONET Workshop 2022(KREONET 35주년) 발표자 모집 2022. 03. 29 View. 52696

     2022년 올해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이 서비스된 지 35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KREONET는 1988년 연구전산망 사업으로 시작하여, 국내 최초의 TCP/IP 기반 인터넷 서비스 시작, 국가 그리드 네트워크,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사업(GLORIAD), 국가람다교환노드(KRLight), 소프트웨어 융합형 광역연구망(KREONET-S), 양자암호통신 프로젝트 등으로 성장을 거듭하여, 현재 서울-대전 300기가급 연구망 백본을 토대로 대용량 빅데이터 기반의 거대과학연구분야의 새로운 과학적 발견은 물론 과학기술 혁신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과학기술 핵심인프라로 성장하였습니다.이번 KREONET Workshop 2022는 이러한 35주년을 기념하여 관련한 역사, 발자취, 사용자, 연구자들이 함께하는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2022년 10월 5일(수)~7일(금) 2박 3일간 제주 매종글래드에서 개최 됩니다.KREONET에서는 35주년 기념 워크숍을 주제발표자를 공개로 모집하려 합니다. 첨단 네트워킹 기술, 연구망 활용 사례를 포함하여 연구망 워크숍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주제(자유주제) 및 연구망 35주년을 기념할 주제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한 발표자를 모집합니다. 선정된 발표자에게는 워크숍 공식 초청, 발표 기회 제공 등 다양한 해택이 주어집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문의는 연구망 사무국(helpdesk@kreonet.net)으로 메일을 주시기 바랍니다. 예) [워크숍 발표신청]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홍길동

  • [KREONET 근황] 2022년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 "KREONET 특별세션"... 2022. 03. 29 View. 50519

    2022년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 'KREONET 특별세션'이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연구자들 참석 하에 2월 9일(수) 진행되었습니다. 해당 행사는 과학기술연구망 운영관리 기술과 양자암호통신 기술 관련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KREONET 특별세션은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연구 실무자를 비롯하여 네트워크 기술, 양자암호 분야 다양한 전문가가 함께 모여 진행되었으며,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이원혁 팀장이 좌장으로 참석하였습니다. 본 행사를 통하여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의 라우팅 설계 방법, 데이터 기반 서비스 고도화 방안, 양자 암호키 생성/관리를 위한 기반연구 결과 등이 발표되었습니다. 

  • [KREONET 근황] 광통신소자 전문 기업 ㈜우리로 연구소 방문 및 양자암호통신 개발 협... 2022. 03. 29 View. 49788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양자&차세대연구망팀과 분당서울대병원 김도원 교수 연구팀은 지난 2월 24일, 광주에 위치한 ㈜우리로의 연구소를 방문하여 상용 양자암호통신 장비의 필수 요소인 단일광자검출소자(SPAD)의 개발 공정을 참관하고 solid-sate photomultipliers(SSPM) 센서의 시간분해 성능 시험에 참여하였다. SSPM은 작은 칩 안에 여러 개의 단일광자검출소자(Single photon avalnache diode, SPAD)를 조합한 것으로, 높은 민감도와 빠른 응답시간 덕분에 양자암호통신 외에도 라이다, 단층촬영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현재 ID Quantique, Toshiba 등 주요 양자키분배 솔루션 기업과 유럽과 아시아의 많은 대학, 연구소들이 ㈜우리로의 고품질 SPAD를 사용하고 있으며, 통신파장 영역에서 SPAD의 단일광자 검출 효율을 높이기 위한 활발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된다.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도 KREONET에서 양자암호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로의 SPAD를 사용하여 양자키분배 장치를 제작하고 있으며, 추후 연구협력을 통해 양자암호통신 서비스의 성능을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 [KREONET 서비스 소개] 연구협업의 문을 여는 안전한 열쇠, KAFE 2022. 03. 29 View. 48984

    > KAFE 소개   ID 페더레이션의 편의성·보안성에 대한 인식강화와 COVID-19로 인한 비대면 협업환경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산·학·연으로 KAFE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 2021년에는 국내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KAIST, POSTECH, GIST, DGIST, UNIST)과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및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이 KAFE에 참여함으로써 KAFE의 T&I 서비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해양수산부 산하 연구기관과 교육기관들을 아우르는 범부처 소프트웨어 인프라로 성장했다.    2022년에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KAFE에 참여했다. Westlaw 등 전자저널 출판사들이 IP 기반의 사용자 인증방식(로그인)을 ID/PW 방식으로 전환함에 따라 부산대 등 다수의 대학에서 KAFE 참여를 계획하고 있다. KAFE를 통해 무료로 제공되는 ID/PW 기반의 사용자 인증방식은 수천만 원 상당의 초기비용이 필요한 상용 사용자인증 서비스에 비해 높은 비용 효율성을 제공한다. 전자저널 등 지식정보 서비스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접속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교육 기관들과의 협력 강화가 기대된다.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은 2022년부터 KAFE의 T&I 인프라를 KAFE Login과 KAFE Online으로 분리해 서비스하고 있다. KAFE Login은 안전한 로그인환경의 구현이 목적이며 KAFE Online은 비대면 연구협업 서비스를 의미한다. 지속된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재택근무가 증가하면서 화상회의 서비스와 전자저널이 각각 KAFE Online과 Login의 주요 응용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다.   Webinar/Webmeet 화상회의 서비스의 누적 사용자 수는 16만 명을 넘어섰다. 2021년도에는 부하분산 기술을 개발하고 미디어 서버의 용량을 300% 확충했으며 회의룸 예약 기능 등 상용서비스 수준의 편의 기능을 갖춘 Webinar 1.5가 운영환경에 적용되었다. 2022년에는 사용자들이 더 안정적으로 Webinar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 서버를 추가로 확충하고 개방형 API의 제공과 회의 레코딩 기능 등을 보완할 계획이다.   KAFE는 전자저널의 외부접속(Offsite access)을 지원하기 위해 회원기관의 도서관이나 전산부서와 밀접하게 협력하고 있다. 현재까지 Science, Nature 등 21개의 국외 전자저널 출판사와 국내 eBook 서비스들이 KAFE와 연동되었다. 서울대, 고려대, UNIST, DGIST 등의 교육기관과 KISTI, KIGAM 등의 연구기관에서 전자저널의 외부접속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통합인증을 통해 내부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처럼 외부 서비스들의 이용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프락시나 VPN 등 외부접속 시스템들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관 내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NA(Data·Network·AI) 융합 활용의 시대를 맞이해 연구기관과 교육기관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 데이터보호의 첫 관문은 사용자 인증정보의 보호이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는 다단계 인증(MFA:Multi-Factor Authentication)을 가장 안전한 사용자 인증기술로 간주한다.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은 KAFE에 참여 중인 기관과 서비스제공자들이 일회용 비밀번호(OTP)를 이용해 높은 보안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MaaS(MFA as a Service)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KAFE에 참여 중인 회원기관과 서비스제공자들은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이 제공하는 MaaS 서비스를 통해 OTP 기능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MaaS 서비스는 개별 기관에 구축되는 인증서버에 탑재하거나 허브형 인증관리시스템인 trustHub+을 통해 구현되며 2022년도 4분기부터 제공될 예정이다.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은 국내외 학·연 기관이 언제 어디서나 안전하게 연구협업할 수 있도록 디지털 아이디의 연합활용 체계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T&I 서비스는 연구 데이터를 보호하고 기관 간에 연구자원을 융합 활용케 하는 핵심 사이버 인프라이다. 기술개발과 서비스에 기관의 요구가 반영될 수 있도록 국내 산·학·연의 관심과 적극적인 KAFE 참여를 기대한다.   support@kafe.or.kr

  • [안내] 초고성능컴퓨팅 국가전략분야 중심 응용SW 개발 및 공유사업(가제) 기술수요조사 2022. 03. 18 View. 4584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우리나라 초고성능컴퓨팅 활용 생태계 구축을 목적으로 초고성능컴퓨팅 응용 SW개발 및 고도화 지원을 위한 사업을 기획중입니다.이를 위해 초고성능컴퓨팅 관련 연구자분들을 대상으로 기술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니,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수요조사 목적 가. 목적  ㅇ 고성능컴퓨팅 응용SW개발과 관련된 기술을 발굴하고, 중기(5개년) 집중연구를 통해 초고성능컴퓨팅 엑사스케일 시대에 대응하고자 함  ㅇ 본 수요조사는 초고성능컴퓨팅 응용SW개발을 위한 기술수요를 조사하고자 추진함 나. 대상분야  ㅇ 초고성능컴퓨팅 국가전략분야 중심 응용SW 개발을 위한 수요 기술□ 수요조사 개요 ㅇ (조사 기간) 2022년 3월 17일~25일 ㅇ (조사 방법) 2가지 방법 중 1가지 선택 후 조사 수행   1) 기획마루를 통한 온라인 접수(https://plan.nrf.re.kr)   2) 서면 작성 및 이메일 접수(smheo@miraevision.com)     - 수요조사 양식을 다운받아 작성 후, 수요조사서 파일(HWP) 이메일 접수 ㅇ (조사 대상) 초고성능컴퓨팅 활용기술분야 관련 연구자  ㅇ (조사 분야) 초고성능컴퓨팅 10대 전략분야*   * ① 소재‧나노  ② 생명‧보건  ③ ICT  ④ 기상‧기후‧환경  ⑤ 자율주행  ⑥ 우주  ⑦ 핵융합‧가속기  ⑧ 제조기반기술  ⑨ 재난‧재해   국방‧안보 ㅇ (조사 활용) 2022년 초고성능컴퓨팅 국가전략분야 중심 응용SW 개발 및 공유사업(가제) 기획을 위한 기술수요 파악 첨부 : 초고성능컴퓨팅 국가전략분야 중심 응용SW 개발 및 공유사업(가제) 기술수요조사 안내자료 1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