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초고성능 국가 데이터 네트워크, KREONET

총 게시글 281 RSS
  • KISTI ISSUE BRIEF 제43호 : 국가 데이터 교환 체계 개발 및 구축 전략 2022. 07. 13 View. 58820

    [KISTI ISSUE BRIEF 제43호: 국가 데이터 교환 체계 개발 및 구축 전략]조부승 · 박성진인터넷으로 대표되는 현재의 네트워크는 전 세계 주요 거점에 분산되어 있는 인터넷 교환 노드(IXP)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최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한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글로벌 컨텐츠 사업자의 인터넷 트래픽 점유율의 증가와 데이터집약형 과학으로 대표되는 거대과학분야 빅데이터 기반의 글로벌 협력 프로젝트의 출연 등으로 인터넷 생태계 또한 기존의 인터넷 접속에서 데이터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간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있어 기존의 IXP로는 불가능하여 대용량 데이터 교환에 최적화된 데이터 교환 노드의 개발과 구축이 유럽, 미국을 중심으로 크게 이슈화 되고 있다.이에 데이터 교환 노드 핵심 기술 이슈 및 국내외 관련 동향을 살펴보고, 중립성, 투명성, 개방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데이터 교환 노드에 대한 기술 개발 및 구축 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가 데이터 교환 노드를 조기에 개발 및 구축함으로써 국가 전체의 데이터 활용률을 크게 높임은 물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 [안내] 2022년 제11회 KrIGF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The 11th Korea I... 2022. 07. 12 View. 59029

    ■ 행사명: 2022년 제 11회 KrIGF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The 11th Korea Internet Governance Forum)  ■ 일  시 : 2022년 7월 15일(금)  09:40 ~ 17:50  ■ 장  소 : 이룸센터(B1 누리홀, 2F 교육실1/2)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22 이룸센터 B1/국회의사당역 4번 출구)              Youtube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krigf-channel.kr)■ 사전등록기간 : 2022.06.27.(월) ~ 07.13.(수) ■ 참가비 무료 ■  행사안내 바로가기 >>> http://igf.or.kr/  

  • KISTI 주관 KRnet2022 BoF 세션, KR 네트워크 운영자 모임 개최 2022. 07. 11 View. 61055

    올해 30주년을 맞은 KRnet2022 행사의 일환으로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센터장: 조부승) 주관하여 6월 27일 BoF 행사로 “KR 네트워크 운영자 모임”을 개최하였다. 네트워크 운영자 그룹(Network Operator Group, NOG) 미팅은 보통 국가 단위로 네트워크 운영자, 엔지니어, 관련 전문가가 함께 비공적적 포럼 형태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라우팅, 네트워크 보안, 피어링, IP 주소 등 인터넷 운영 관련 정보교류 및 현안 해결을 위한 토론의 장으로 활용된다. 국내에서는 최근까지 진행되지 못하고 있었으며, 30주년을 맞는 KRnet2022를 기념하는 동시에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라우팅 보안, IPv4 주소자원, IPv6 활성화 등을 논의하고자 행사를 개최하게 되었다. 본 행사에는 과학기술연구망을 운영하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상용인터넷사업자로 KT, SKB, LG-U+, 클라우드사업자인 NHN,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인터넷주소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학계에서는 전길남 교수(KAIST 명예교수), 김대영 교수(전 충남대)가 참석하였다. 주요 협의 내용으로는 KISA가 국내 주소관리 관리대행자로서 APNIC의 즉시사고 대응팀(IRT, Incident Response Team)의 메일을 대신 메일 받아서 각 기관에 포워딩하는 부분을 직접 기관에서 수령하도록 메일 등록 요청, 코로나 전후의 네트워크의 변화, MANRS & RPKI 등의 라우팅 보안을 위한 협력 활동, 코로나19 전후로 KR DNS 쿼리의 30% 급증 등의 DNS 운영 및 보안 이슈, IPv4 주소자원의 고갈 및 재할당 정책, IPv6 보급률 이슈 등이 있었으며, 다양한 기관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향후 KISTI와 KISA를 중심으로 KR 네트워크 운영자 모임이 지속될 수 있도록 연락체계를 구축할 예정으로 지속적으로 활동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 양자통신-양자보안 조인트 워크숍 개최 및 기술교류회 추진 2022. 07. 11 View. 59796

    KISTI는 2022년 6월 16일 부산 벡스코에서 “양자통신-양자보안 조인트 워크숍”을 개최하여, 양자기술에 대한 최근 트랜드를 공유하였으며, 양자물리, 보안, 통신 분야별 연구자들 간의 상호 기술 교류회를 추진하였다.특히 한국통신학회의 양자통신연구회와 한국정보보호학회의 양자보안연구회 간의 조인트 기획을 통하여, 그간 각 계의 관점에서 고민하였던 양자기술에 대한 다각도의 주제발표 및 토론이 이루어져 국내 관련 연구자간의 상호 공감과 연구협력의 진일보에 이바지하는 기회가 되었다.국내외 양자네트워크 프로토콜, 양자중계기 등의 양자통신기술과 양자키분배기술, 양자내성암호기술 등의 양자보안기술들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는 데에 좋은 기회가 되었다. 

  • 유럽 연구망 컨퍼런스 TNC22를 통한 연구망 협력 강화 2022. 07. 11 View. 51679

    TNC22는 “Navigating the Unexplored”라는 주제로 전 세계 70개국 이상에서 800명 이상의 연구망 관계자가 참여하는 유럽에서 가장 큰 연구망 컨퍼런스 행사로 6월 13일에서 17일까지 5일간 이탈리아 Trieste에서 온오프라인 행사로 개최 되었습니다. “The next frontier in climate modelling: Inclusion of interactive humans in climate models” 플래너리를 시작으로 Network Evolution, Quantum Technologies, Innovating with google, Data Driven Networking 등 22개 세션 및 다양한 데모가 시연되었습니다. 관심있으신 분은 https://tnc22.geant.org/programme/ 에 접속하시어 일부 발표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연구망 협의체, GNA-G (Glabl Network Advancement Group)는 코로나19 이후 2년 만에 처음으로 오프라인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GNA-G 의장단(David Wilde/호주연구망(AARnet) CTO, Harvey Newman/Caltech공대 교수, 조부승/KREONET 책임자, Ivana Golub/유럽연구망(GEANT) Project 리더, Marco Teixeira/중남미연구망협의체(Redclara))을 중심으로 GNA-G Strategy 의견수렴, GNA-G Architecture 및 Funding model 논의, GREN MAP WG 글로벌 연구망 동적 Map구축을 위한 데이터 구축 방안 협의, 차기 GNA-G 미팅개최 등에 대해 논의 하였습니다. GNA-G Community 미팅KREONET은 TNC22를 통해 아시아태평양-오세아니아 국제연구망 컨소시엄(APOnet) 첫 대면 회의를 통한 국제 100G 연결 강화 및 슈퍼컴퓨팅컨퍼런스(SC22) N*100G 글로벌 데모 네트워크 구성 협력, GEANT(유럽연구망)과의 신규 100기가 연동 및 거대과학연구 지원 협의, GARR(이탈리아연구망) 시공간융합연구 대용량데이터전송 및 주파수전송 기술 협의, 미국에너지성연구망(ESnet) 핵융합 거대과학연구 한-미 국제망 구성 및 협력 회의, 체코연구망(CESNET)과의 광케이블을 통한 주파수/시각 전송 기술 협력 방안 논의, 네덜란드연구망(SURFnet)과의 신규 MoU 체결 방안 및 ANA(Advanced North Atlantic) 컨소시엄 참여 방안 협의, Asi@Connect와의 차기 Asi@Connect 사업 개발 및 MoU 체결 협력 논의, 미국 StarLight/iCAIR와의 양자통신 테스트베드 기술 협의 등을 추진하였습니다.                                                                 TNC2022 컨퍼런스 

  • [교육안내] 고성능 네트워킹과 양자암호통신 -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 2022. 06. 07 View. 52903

    안녕하세요.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입니다.오는 6월 22일(수) ~ 24일(금) 3일간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에서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 관련한 교육을 실시합니다.오프라인 교육이며 (교육장소 : KISTI 대전 본원 키움관)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과 관련한 최신 네트워크 및 양자기술에 관해 교육이 실시됩니다.KISTI 교육기관인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에서 실시하는 이번 교육은 3일간 8개 과목에 관하여 교육이 실시되니연구망 회원기관 및 사용자들의 많은 참석 바랍니다.(교육이수 시 교육이수증 발급)등록은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가입 후 가능합니다.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 바로가기 고성능 네트워킹과 양자암호통신 교육과정 바로가기 

  • [안내] 2022년 하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 개최 2022. 05. 31 View. 51925

     

  • [안내] KRnet 2022 2022. 05. 18 View. 47069

    [행사 바로가기] https://krnet.or.kr 

  • [안내] 2022년도 KREONET 홍보용 브로슈어 발간 2022. 05. 09 View. 45629

    2022년을 맞아 KREONET을 홍보하는 브로슈어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최신 KREONET의 인프라 및 서비스에 대해 소개하는 자료이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KREONET 홈페이지 > 알림마당 > 간행물 > 2022 KREONET 브로슈어바로가기!!

  • [연구망소식] 농업 빅데이터 및 활용 모델 통합 연계 체계 개발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추... 2022. 05. 04 View. 47842

     - 농업 분야 빅데이터 및 API 네트워킹 기술개발 -KREONET에서는 4월 1일 부터 농촌진흥청에서 제안한 농업 빅데이터 수집 및 생산성 향상 모델 개발 과제 사업을 추진한다. 주관기관은 서울대 농대이고 공동연구기관으로 KISTI가 참여하는 사업으로 진행된다. 본 사업은 센싱, IoT 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의 생산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농업 분야에서는 아직 데이터 기반의 생태계가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 분야의 빅데이터와 기계학습 모델을 활용하여 공공 또는 민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대에서는 농업 생산, 농업 환경, 기상기후 등의 데이터와 기계학습 모델을 제공하고, KISTI에서는 제공되는 데이터와 모델의 저장 및 기계학습 처리를 위한 플랫폼을 개발한다.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기존에 인공지능 연구 환경 제공 시스템 R&E Together을 개발 및 운영한 경험을 바탕으로 농업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 플랫폼에 기술을 적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농업 모델 공공 및 민간 서비스 활성화를 통한 농업 분야의 경쟁력을 제고하며, 농업 재배 관리 서비스를 통한 농가별 기후변화 및 이상기상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고하고자 한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을 통해 기존에 연구한 R&E Together 플랫폼을 타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 플랫폼 사업에 적용할 수 있으며, 국내의 한국과학기술연구망의 역량을 강화하고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사업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목표 : 농업 빅데이터 및 활용모델 통합 연계 체계 개발모델 API 관리 환경 구축○ 디지털 농업 플랫폼의 모델 컨테이너 저장 환경을 위한 구조 설계○ 농업 모델 컨테이너 저장을 위한 API 환경 개발○ 농업 모델 컨테이너 디지털 플랫폼에 분류 및 저장농업 모델 API 연계 및 클라우드 연계 환경 개발○ 모델 통합 관리 시스템과 모델 컨테이너 연계 인터페이스 개발○ 클라우드 연계를 위한 API 개발디지털 농업 플랫폼 관리 체계 안정화 및 검증○ 디지털 농업 플랫폼 운영/관리○ 모델 통합 관리 시스템과 모델 컨테이너 서비스 안정화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