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고성능컴퓨팅 및 연구망 기술 교류를 위한 SC22 슈퍼컴퓨팅 컨퍼런스 참가 2022. 12. 22 View. 43096
KISTI는 지난 11월 12일부터 19일에 미국 댈러스에서 초고성능컴퓨팅 및 연구망 기술 교류를 위한 SC22 (Supercomputing Conference 2022) 슈퍼컴퓨팅 컨퍼런스에 참가하였다. SC 행사는 매회 개최되는 고성능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 및 분석에 대한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행사이다. KISTI는 부스를 마련하여, ETRI, IBS, GIST 등과 함께 성과를 전시하였으며, 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의 인프라 및 기술 성과 또한 전시하였다. 특히, SC 행사기간 동안 SCinet 라는 SC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네트워크 데모 및 관련 활동을 지원하는 SC를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 및 운영되며, 행사장의 여러 부스를 통해 SCinet을 통한 네트워크 데모를 선보였다. KISTI도 멤버로 참여하고 있는 글로벌 첨단 국제 연구망 컨소시엄인 GNA-G (Global Network Advancement Group)는 SCinet과의 연동을 통해 글로벌 다양한 NRE (Network Research Exhibition) 데모의 많은 부분을 지원하였다. SC와 함께 개최되는 INDIS (Innovating the Network for Data Intensive Science) 워크샵에서는 네트워크 하드웨어를 프로그래밍하는 P4에 대한 여러 데모와 연구가 부각되었으며, 일본 NICT 부스에서는 고성능 네트워크 실험을 위한 200Gbps 급 대용량 트래픽 생성기를 비롯, 미디어 실시간 처리, 보안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대용량 트래픽 응용이 전시되었다. 또한 InfiniBand, Omni-Path, RoCE 등 다양한 인터커넥트 패브릭에 대한 기술이 시연되었다. KISTI는 SCinet의 기여를 인정받아, SCinet Sprit of Innovation Award를 수상하였다. 또한 내년에 구축이 완료되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 KREONet2)의 백본 계획과 연구망이 지원하고 있는 여러 거대과학 연구를 소개하였으며, 연구망과 KISTI의 다른 부서에 대한 소개를 다수 수행하며 해외 여러 기관의 연구자들과 협력 기반까지 공고히 하는 좋은 시간이 되었다. [관련 링크]https://sc22.supercomputing.org/https://sc22.supercomputing.org/scinet/network-research-exhibition/ https://scinet.supercomputing.org/community/indis/previous-editions/sc22-indis/
-
2022년도 KREONET 실무자협의회 실무위원 Workshop 개최 2022. 12. 22 View. 42223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서는 200여 회원기관의 실무자들을 대표하는 실무자협의회 위원을 중심으로 하는 ‘2022년도 KREONET 실무자협의회 실무위원 Workshop’을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행사는 11월 10일~11일, 강릉 세인트존스 호텔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실무자협의회 실무위원 Workshop은 22년도 KREONET 실무자협의회 성과 및 차년도 운영계획에 대해서 논의하였으며, 권역별 워킹그룹 개선안, 실무자협의회 발전방안 및 차기 실무자협의회 의장을 선출하는 자리였습니다. 차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KTC) 의장으로는 윤태진 의장(한국과학기술원)이 선출되었으며 향후 2년간 KREONET 발전과 사용자와의 교류 및 이용활성화를 위해 활동할 예정입니다.
-
광섬유 기반 지진파 탐지에 대한 NST 창의 융합클러스터 킥오프 워크숍 개최 2022. 12. 22 View. 43240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은 nst 융합클러스터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광섬유 기반 분포형 음향 계측 데이터를 통한 지진파 탐지 융합클러스터” 과제 추진을 위한 Kick-off workshop을 2022년 11월 9일, KISTI 대전 본원 제4회의실에서 가졌다. 본 킥오프 워크숍은 광섬유 기반 분포형 음향 계측 데이터를 통한 지진파 탐지라는 주제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전력연구원의 전문가들이 함께하여 NST 창의 융합클러스터의 추진방안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었다. 광섬유 기반 DAS 계측 기술을 활용한 국내외 실증 연구 사례를 공유하고 국내 실증연구 추진을 위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진행해 왔던 광섬유 기반 지진파 탐지에 대한 구체적 연구 사례 소개를 통해 본 연구과제의 필요성과 분과별 역할을 고민하고 구체적으로 기획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본 과제의 추진을 통하여 분야별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연구협력이 해당 연구주제의 국내 실증연구 추진을 위한 구체적 방안 제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Single Photon Workshop 2022 행사 참가 2022. 12. 22 View. 42275
Single Photon Workshop(SPW)은 올해로 10번째를 맞은 광자 기반 양자 기술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대회로, 2003년 미국의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 열린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미국 및 유럽의 국립 연구소와 대학에서 2년에 한 번씩 개최되고 있다. 단일광자광원, 검출기, 통신, 컴퓨팅 등의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실적을 가진 석학들과 IDQ, Toshiba, 우리로, MPD 등 단일광자 검출기와 양자암호통신 상용 시스템을 제작하는 주요 기업 관계자들이 모여 최신 연구실적을 공유하고 다양한 협업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는 수준 높은 학회이다. 원래 아시아권 참가자들이 매우 적은 학회였으나 올해는 아시아 최초로 한국에서 개최되면서 국내 연구진들도 다수 참석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공동 개최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관계자들과 SPW 2019 참가자, 한국광학회 양자전자분과 일부 연구진들이 로컬 조직위원으로 참여하였다. KISTI에서는 양자&차세대연구망팀의 이은주 선임기술원이 이번 SPW 2022의 조직위원으로 참여하여 프로그램 기획 및 행사 준비 업무를 담당하였다. 본 행사는 10월 31일부터 11월 4일까지 5일 동안 KIST 서울 본원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고, 약 250명이 참여하였다. 독일과 이탈리아 연구기관에서 가장 많은 연구성과를 발표했고, 국내에서 열린 행사인 만큼 국내 양자정보과학 연구진들이 대거 참여하여 다양한 국가의 전문가들과 최신 연구 성과들에 대해 활발히 논의하고 교류할 수 있었다. 다음 SPW 행사는 2024년에 스코틀랜드에서 개최될 예정으로, 이번 행사를 계기로 앞으로 국내 연구진들도 이 학회에서 훌륭한 성과를 많이 발표할 수 있기를 바란다.
-
[공지]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 안내 및 개인 정보 제공 알림 2022. 12. 22 View. 40155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 안내]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아래와 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는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고객만족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공공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국민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본 조사는 PC와 모바일을 통한 온라인조사로 이루어집니다.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고객님께 조사 참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전화를 드릴 수 있다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조사대상: 2021년 11월부터 현재까지 우리 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 중 일부- 조사방법: 온라인 조사(PC/모바일을 통한 응답화면 접속) - 사전 전화안내 실시- 조사기간: 2022년 12월 ~ 2023년 2월- 주간사업자: ㈜리서치랩- 조사회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객만족도 조사 실사단 본 조사는 2007년 4월 1일 시행된「공공기관운영에관한법률」제 13조 2항 및 동법시행령에 의거하여 실시하고 있고 개인의 비밀에 속하는 사항은 엄격히 보호되며, 고객만족도 조사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엄숙히 약속드립니다.==========================================================================================================================[개인 정보 제공 알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아래와 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는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고객만족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공공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함으로써 국민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고객만족도 조사 실시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 법적근거: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제2항제2호, 「공공기관운영에관한법률」 제13조제2항, 동법시행령 제17조제3항- 제공목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 제공대상: ㈜리서치랩- 제공일자: 2022년 12월 15일- 제공내역: 수혜 서비스명(사업명), 고객 이름, 소속기관/부서, 직급/직책, 연락처 - 활용시기: 2022년도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완료시까지- 파기방법: 조사 종료 후 연구책임자 감독 하에 디지털정보, 인쇄물 일괄 파기
-
SCinet Spirit of Innovation Award Recognizes 17 Co... 2022. 11. 22 View. 47876
The SC22 Conference is underway in Dallas, bringing together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high performance computing, networking, storage, and analysis community to share the latest research, technologies, and demonstrations.Exhibitors and visitors at the SC Conference this year will enjoy access to 5.01 terabits per second of bandwidth across 1 million square feet in the Kay Bailey Hutchison Convention Center Dallas thanks to SCinet, the dedicated high-capacity network for the conference.SCinet is a collaborative effort by over 175 volunteer experts from 80 volunteer organizations that span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This spirit of collaboration is a major driver for the success and innovation that SCinet delivers on a yearly basis.Seventeen organizations in particular were instrumental in supporting large-scale international science at the SC Conference this year, and they are being recognized with the SCinet Spirit of Innovation Award:“The winners of the 2022 SCinet Spirit of Innovation Award have embraced the spirit of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that showcases the best there is to offer in demonstrating, implementing, and operating leading-edge solutions to challenging problems,” said Matt Zekauskas, SCinet Chair. “This collaboration is truly special to SCinet, and we are all encouraged by and appreciative of their efforts to showcase partnership and innovation.”The research innovations are being demonstrated at the NICT booth at SC22 this year, and feature several experiments that will leverage International connectivity and technology support being provided by the collocating partners. These demonstrations will transmit data and video streams of various qualities across a multi-continental path, use cloud and edge computing approaches to perform at scale video processing and measuring and monitoring of the network infrastructure, and use this intelligence to dynamically control the network path.SCinet contributors donate millions of dollars in equipment, software, and services that are needed to build and support the network each year for the SC Conference. At this year’s conference in Dallas, it’s estimated that contributions from 29 organizations will total $70 million.AARNet, APONET, ARENA-PAC, CENIC, Ciena, Cisco, HARNET, Internet2, KISTI, NICT, NII, Pacific Northwest Gigapop, REANNZ, SingAREN, TransPAC, University of Hawaii, and Verizon were recognized at a private ceremony on Monday, November 14. URl : SCinet Spirit of Innovation Award Recognizes 17 Contributors’ Role in Supporting International Science Activities for SC22 • SC22 (supercomputing.org)
-
Quantum Risk 대응을 위한 Quantum Security (2022 양자보안연구회... 2022. 11. 16 View. 48867
2022년 10월 18일(화)에는 한국정보보호학회 양자보안연구회 주관의 양자보안연구회 워크숍이 열렸다.KISTI는 양자보안을 위하여 양자암호통신망 구축기술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의 중요 연구기관간의 양자보안이 가미된 연구망 서비스를 준비하고있다.이와 관련하여 "양자 리스크 대응을 위한 양자암호통신망 구축 개발과 활용연구"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양자컴퓨터 시뮬레이션, 양자내성암호 등의 연구자와 함께 양자보안을 위한 방안에 대한 토의를 진행하였다."양자컴퓨터 동향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양자컴퓨터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IBM, D-wave의 양자컴퓨터를 활용하여 수행 가능한 연구와 활용성의 강연과 양자 시대를 향한 산업계의 대응 전략을 통하여 양자시대를 준비하는 다양한 산학연의 입장을 통하여 현 주소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양자 기술 교류의 장이 되었다.
-
KSC 2022 양자암호통신망 구축을 위한 요소 기술 연구개발 현황 워크숍 개최 2022. 11. 16 View. 49118
KISTI에서는 지난 9월 29일부터 30일에 더케이호텔 서울 양재에서 슈퍼컴퓨팅 기술 및 활용과 연구망 활용 기술 등을 총괄적으로 발표하는 KSC2022 컨퍼런스를 추진하였다.여러가지 분야의 기술 발표와 함께,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양자암호통신망 구축을 위한 요소 기술 연구 개발 현황에 대한 기술 워크숍을 진행하였다.KISTI의 자체 행사 준비 추진과 함께, SDN/NFV 포럼의 Q-KaaS WG과의 조인트를 통하여, 양자암호통신망 구축기술을 연구하고 협력하는 산학연간의 기술 발표 및 교류의 장이 되었다. 양자 암호키 분배장비 프로토콜 기술에 대한 발표세션과 다중화 기술 세션, 양자키관리 구축 기술세션으로 3개의 세션으로 진행되었으며, 현재 다크화이버 기반의 양자암호통신망 구축 수준을 넘어 구축을 위한 확장성있는 기술 적용을 위한 최신의 SDM(공간분할 다중화) 기술까지 실 구축을 위한 여러 기술적 요소를 발표하고 토론하였으며, 청중과 발표자의 다양한 의견 개진으로 상호 공감대를 갖춘 협력 기반까지 공고히 하는 좋은 시간이 되었다.
-
5G+ 플랫폼 구축을 위한 2022년 대전형 융합 신산업 창출 특구기술 실증 선도사업 선정 2022. 11. 15 View. 49510
KISTI와 KREONET은 대전광역시와 대전과학산업진흥원이 50억원의 예산을 투자해 추진하고 있는 '대전형 융합 신산업 창출 특구 실증 선도사업'의 공동연구책임기관으로 선정되었다. 최종 선정된 4개의 사업 중 하나에 공동으로 참여하여 미래를 선도할 수 있는 데이터-네트워크-AI (DNA, Data-Network-AI) 기반의 지역 혁신 산업 생태계 조성을 수행한다.이번 사업은 주로 산업계의 5G 기반 디지털 전환 고도화를 위해 (주)트렌토 시스템즈, (주)엑센솔루션, (주)금성백조주택과 함께 기술 협력을 통해 5G 기반 지능형 공장과 망 분리 보안(Software Defined Factory) 실증을 추진한다.해당 사업은 철저한 현장 중심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대전 지역의 자동차 부품 공장과 주요 건물에 맞춤형 5G 특화망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하는 한편, 끊김이 없는 초고속·대용량·초저지연 데이터 전송, 우수한 보안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스마트 공장과 아파트의 인프라를 소프트웨어 정의 5G 특화망(Software Defined 5G)으로 전환하고 실증하는 것이 핵심이다.KISTI는 5G 특화망의 핵심 기술인 저지연 가상 전용 네트워크 생성에 대해 공식적으로 검증된 독자 기술을 확보하여 연구소기업인 (주)트렌토 시스템즈에 이전하였으며, 향후 연구소 기업과 공동으로 5G 표준이 제시하는 성능 수준과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국산화하는 한편, 소프트웨어 정의 5G 특화망 기술의 고도화 개발을 통해 KREONET 및 학계·연구계·산업계 활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
광섬유 기반 지진파 탐지에 대한 NST 창의 융합클러스터 사업 시작 2022. 11. 15 View. 49913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은 광섬유 기반 분포형 음향 계측 데이터를 통한 지진파 탐지의 주제로 NST 다학제 융합클러스터 과제를 2022년 9월 26일부터 시작하여 1년간 추진할 예정이다.본 과제의 연구주제는 광케이블을 데이터 전송이 아닌 분포형 음향 계측(DAS) 기술을 통한 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서 착안이 되었다. 광섬유 기반 센싱 기술의 이점은 센서들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광범위한 지역의 데이터를 한번에 수집 및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집된 데이터가 필요하고 적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응용은 지진파를 탐지 및 분석하는 것이다. 미국, 일본, 유럽을 포함한 해외 연구기관들에서는 광케이블 기반 DAS 계측 기반 지진파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대한 실증연구를 추진하고 있다.본 연구주제는 광섬유 기반 DAS 계측 기술, 계측 데이터 수집/전송 플랫폼, 계측 데이터 기반 지진파 탐지 분석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지식 및 노하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융합 클러스터 과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주관으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전력연구원의 분야별 전문가들과 함께 융합 클러스터 연구를 수행한다.본 과제를 통하여 광섬유 기반 분포형 음향 계측 데이터를 통한 지진파 탐지에 대한 국내 실증연구 설계 및 사회적 현안 해결을 위한 연구 교류 및 융합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