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혁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초고성능 국가 데이터 네트워크, KREONET


KREONET  35년 발자취



국내

국제

2020's



  • 2023국가 대용량 데이터교환노드 개발 및 구축 프로젝트 시작

    •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부산시범노드 구축(2023.9.)


  • 2023.9KOEXP (개방형교환노드) 부산 구축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연계 추진


  • 2023.6한-중-일-싱 간 동아시아국제연구망협력체(EARBN*) 결성

    *EARBN:East Asia Resilient Backbone Network Collaboration


  • 2023.6테라급 KREONET 백본망 (600Gbps*2) 구축

    • 서울-대전 600Gbps*2를 비롯하여, 전국 17개 지역망센터 최소 100Gbps 이상 연동

    • 신규 평창지역망센터 개소(2023.5)


  • 2023.6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 아시아-북미-유럽 100기가급 환형링 구축

    • 전국간 대전-시애틀/시카고, 시카고-암스테르담, 대전-홍콩/싱가포르, 싱가포르-암스테르담 100Gbps 전용회선 개통 및 싱가포르 PoP 신규 구축


  • 2023.3아시아·유럽 국제연구망협의체(AER: Asia-Europe Ring) 참여

    *한국, 일본, 호주, 유럽, 북유럽, 네덜란드, 홍콩,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등 참여


  • 2022.11KISTI/KREOENT SC22 SCinet Spirit of Innovation Award 수상

    *SC22에서의 APOnet 협력 기반 SCinet  구축/지원 협력 및 기술 데모 우수성 입증


  • 2021KREONET 양자암호통신 구축기술개발 프로젝트 시작

  • 2021.7아시아·태평양·오세아니아 국제연구망협의체(APOnet: Asia Pacific Oceania Network) 결성

    *한국, 호주, 일본, 미국, 싱가포르, 뉴질랜드 참여


  • 2020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거대과학 기반 과학데이터의 빠른 전달을 위한 ScienceDMZ 기술개발 및 서비스”)

  • 2020.7KISTI 연구소기업 출범((주)트렌토시스템즈)

    *SDN 기반 가상전용네트워크 특허기술 출자



2010's



  • 2019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GLORIAD) 주요구간 100Gbps 증속

    • 100기가급 홍콩-대전-시애틀/시카고, 10기가급 시카고-암스테르담 연동


  • 2018ScienceDMZ 서비스 확대 (PRP/APRP/GRP 연계)

  • 2016단일 아이디 기반의 사용자 인증 서비스, KAFE (Korean Access Federation) 서비스 시작

  • 2016아시아 최초 100기가 연구망 구축 및 서비스

    • 서울, 대전 포함 5대 광역권 100기가 서비스(대전-시카고 국제 100기가 서비스)

    • ScienceDMZ 서비스 시작


  • 2016.8CERN Tier1/2/3 연동용 LHCONE* 구축

    *LHCONE: LHC Open Network Environment Network


  • 2016.2아시아 최초 100기가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 구축 및 유럽 암스테르담 PoP 신규 구축

    • 10기가급 홍콩-대전-시애틀, 시카고-암스테르담 연동 및 대전-시카고 구간 100기가 서비스


  • 2015-2019양자암호통신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영 사업

    *미래창조과학부 주관 QKD 고도화기술개발사업 일환(주관기관: SKT)


  • 2015소프트웨어 융합형 광역연구망(KREONET-S) 프로젝트 시작

    * KREONET SD-WAN 프로젝트


  • 2015GLORIAD & TEIN MoU 체결 및 10Gbps급 연동

  • 2015NSF IRNC AMI: “The InSight Advance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ward 수상(GLORIAD-US, KISTI, CISCO 등)

  • 2015한국-스위스 10Gbps CERN LHCOPN* 구축 (GSDC/KISTI CERN WLCG Tier1센터 지정)

    *LHCOPN: LHC Optical Private Network


  • 2013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GLORIAD) 업그레이드 및 신규 시카고 PoP 구축

    • 중국(홍콩)-한국(대전)-미국(시애틀/시카고) 10Gbps 국제전용망 개통


  • 2012eduroam(글로벌무선로밍서비스) 한국대표 로밍운영자(Roaming Operator) 지위 획득

  • 2010서울-대전 100기가(10Gbps * 10) 서비스 시작

  • 2010GENI* 프로젝트 참여(K-GENI)

    *Global Future Internet Testbed, 미국



2000's



  • 2009기초기술연구회 주관 국제수준진단 결과 세계 5위 내 국가 연구망으로 평가

    *2009년 기초기술연구회 5개 연구기관 국제수준진단보고서


  • 2009.109th Annual Global LambdaGrid 워크숍 개최(대전 DCC)

  • 2008과학기술융합망 프로젝트(2008~2011) 시작

  • 2007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 구축“)

  • 2005초고속연구망 국내 지역센터 백본망 증속(5-40기가급)

  • 2005.8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GLORIAD)사업 개시

    • Big GLORIAD 개통(한,미,러,중,캐,네덜란드 등 6개국 참여)

    • 중국(홍콩)-한국(대전)-미국(시애틀) 구간 10Gbps 국제전용망 개통

    • 한국대표 국제람다교환노드(KRLight) 시작

    • 국가e-Science구축사업 개시(Top-Brand 사업)/전담사업기관 지정


  • 2003.11대덕연구단지 내 국내 최초 10기가급 고성능지역연구망(SuperSIReN) 구축 및 서비스

    *KAIST, KBSI, KRIBB 등 7개 기관 광케이블 기반 10Gbps 개통


  • 2003.6한-미 간 KREONETSTAR TAP/STARLight 256Mbps 전용회선 증속

  • 2003.5서울-대전 5Gbps 초고속연구망 기가급 백본망 구축 서비스 개시(인천, 서울(홍릉), 수원, 천안, 전주, 광주, 대구, 부산, 포항, 창원 : 2.5Gbps)

  • 2002.6국내 최초 Access Grid 시스템 구축 및 AG-Net 인프라 구축

  • 2002.3『국가 그리드 사업 전담기관』 지정에 따른 GNOC(Grid Network Operation Center) 서비스

  • 2001.5한-미 간 KREONET - STAR TAP 45Mbps 전용회선 개통

    *차세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KREONet2 NOC 구축


  • 2001.1KREONET-KOREN 5개 지역(서울, 대전, 대구, 부산, 광주) 연동

  • 2001.1KREONET/APII Testbed 구축(일본, 싱가폴, 유럽)

  • 2000.6초고속연구망 15개 지역망 연동센터 확장(10Mbps - 155Mbps)


1990's



  • 1995연구전산망 12개 지역망 연동센터 백본망 구축(T1(1.544Mbps) * N급)

  • 1995.9일본 IMNET – KREONET 256kbps 연동

    *IMNET: Inter-Ministry Research Information network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JST)


  • 1994.8유럽 ULCC/EuropaNET – KREONET 64kbps 연동

    *ULCC: University of London ComputerCenter


  • 1994.7미국 ICMnet/NSFNET* - KREONET 256kbps 연동

    *ICMNET: International Connections Management network


  • 1993.4한국전산망 보안대응센터(CERT-KOREA) 발족 및 서비스 개시(www.CERT-KR.re.kr)

    *제1회 한국전산망보안워크숍(NETSEC-KR'94) 개최(1994.5)


  • 1992국가연구전산망협의회(KREONET-TG) 구성 및 운영, 제1회 한국연구전산망 워크숍 개최(주관: 과학기술처, 주최: 시스템공학연구소)

    *주요 서비스 : FTP, Mail, Telnet(슈퍼컴서비스), Archie, Gopher, News, IRC, DNS.


  • 1991-1995국가간 과학기술 협정에 따른 국제 인터넷 전용 게이트웨이 개통 및 서비스, 아시아 최초의 유럽전용망 개통으로 3개 대륙 연동 글로벌초고속연구망 시대 진입

  • 1991.6미국 SDSC CERFNET/NSFNET* - KREONET 56kbps 연동

    *CERFNET: California Education and Research Federation Network, NSFNET: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etwork


  • 1990한국 SDN/HANA노드 - 미국 하와이 PACCOM노드 56Kbps 국제전용링크 개통

    *KAIST, SERI, NCA, ETRI, KT등 공동 투자


  • 연구전산망 초기 단계

    • 1997-2001 3단계. 고속 연구정보망 구축

    • 1992-1996 2단계. 연구전산망 확산 및 서비스 강화

    • 1988-1991 1단계. 시범연구망 구축



1980's



  • 1988국가 연구전산망구축(KREONET) 사업 착수

    *국가 5대 기간전산망(행정전산망, 금융전산망, 교육·연구전산망, 국방전산망, 공안전산망)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교육·연구전산망은 교육연구망(KREN)과 연구전산망(KREONET)으로 분리(‘88)



    • 서울-대덕연구단지 중심 국가지원 TCP/IP 기반 R&E 인터넷 서비스 시작

    • 고성능SUN4-370/390시스템의 메일/라우터 서버 개통(서울 : 노드명 "Gaya", 대덕 : 노드명 "Garam"), 시범적 인터넷 서비스 운영

    • 국내 최초 슈퍼컴퓨터(1호기)도입(1988. 9, Cray2S 4/128, 성능 세계 5위권)에 따라 연구망 연계 서비스 개시(1993년 2호기, 1999년 3호기 도입 서비스)


  • 1986전산망보급확장과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