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메인 비주얼

  • 국가과학기술연구망

    KREONETKorea Research Environment Open NETwork

    전국 18개 지역망센터를 거점으로 하여 구간별 최소 200Gbps에서 최대 1.2Tbps 전송이 가능한 백본망으로 GLORIAD를 통해 국제연구망과 연동할 뿐 아니라
    국내외 IX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어 연구망서비스는 물론 인터넷서비스를 약 200여개 연구망 가입기관에게 동시에 제공합니다.

    READ MORE
  •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

    KREONETGLORIAD

    2005년 고에너지물리, 천문우주, 기상기후, 핵융합 등 거대과학연구분야 글로벌 협업연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미국, 중국, 러시아, 캐나다, 네덜란드 등
    15개국 연구망 참여하여 전 세계를 10기가급으로 연동하는 GLORIAD 프로젝트와 함께 시작하였습니다.

    READ MORE
  • 과학기술연구망 운영센터

    KREONET-NOC

    과학기술연구망 운영센터(NOC, Network Operation Center)는 1988년 과학기술연구망사업이 시작된 이래,
    35년 이상 24x7x365 과학기술연구망의 중단없는 안정적 서비스 제공은 물론 대규모의 과학기술연구망의 고도화와 함께 운영 역량 또한 지속적으로 향상하여 왔습니다.

    READ MORE
  • 연구교육인증연합(KAFE)

    KAFEKorean Access Federation

    국내외 산·학·연 기관의 과학기술 및 데이터 플랫폼들에 접근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한 신뢰 기반의 아이디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 VPN 서비스

    VPN Service

    과학기술연구망은 과학기술연구기관의 성능보장 및 보안성 강화를 위해 VPN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READ MORE
  • 네트워크 슬라이싱 서비스

    NetworkSlicing Services

    과학기술연구망은 KREONET-S 광역 SDN 인프라를 기반으로 가상전용망(VDN, Virtual Dedicated Network) 기반 네트워크 슬라이싱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 글로벌무선로밍서비스

    eduroamGlobal Wireless Roaming Service

    에듀롬은 소속기관의 와이파이(WIFI) 접속정보로 전세계 연계기관의 와이파이를 무료로 이용하는 서비스입니다.

    READ MORE
  • 데이터전송솔루션

    GlobusLarge-capacity transfer solution

    과학기술연구망은 협업 연구기관 간 대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 기능을 SaaS(Software as a Service) 방식으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데이터 전송 플랫폼 서비스(Globus)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 PerfSONAR

    PerfSONAR

    KREONET은 perfSONAR에 기반한 네트워크 성능측정 서비스를 상시 운영하고 있습니다.

    READ MORE
  • DNS 서비스

    DNSDomain Name Service

    DNS는 각 나라의 핵심 인프라, 온라인 비지니스, 뱅킹 등과 같은 인터넷 기반 통신의 핵심적 부분을 차지합니다.

    READ MORE
  • 첨단연구지원프로그램

    AdvancedResearch Support Program

    기초,응용 등 국내 첨단연구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혹은 연구그룹)을 선정하여, 초고성능의 과학기술연구망 인프라 및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지원하여,
    과학기술혁신을 선도함은 물론 세계적인 연구성과 창출에 기여하기 위한 과학기술연구망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READ MORE
  • NDeX

    NDeXData Exchange

    데이터 교환노드(Data Exchange)는 다수의 데이터 네트워크들 간 빅데이터의 초고속 전송을 위해 다양한 데이터 네트워크들을 상호 연동하는 교환 노드입니다.

    READ MORE

Support Cases for Advanced Applications on KREONET

KREONET NEWS

LEARN MORE

2025.03.05.

[공문첨부] 2025년 상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 개최 안내

<p><span style="font-size: 16px;"><b><span style="color: rgb(0, 117, 200);"><br></span></b></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span style="color: rgb(0, 117, 200);">참석확인서 발급은 '</span></b></span><span style="color: rgb(0, 117, 200);"><span style="font-size: 16px;"><b>KREONET 홈페이지 – 알림마당 – 행사안내 - 지난행사' 에서 가능하며</b></span></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span style="color: rgb(0, 117, 200);"><br></span></b></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span style="color: rgb(0, 117, 200);">세부 내용은 하단의 '참석확인서 발급 안내' 첨부 파일을 참고해주세요.</span></b></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span style="color: rgb(0, 117, 200);"><br></span></b></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span style="color: rgb(0, 117, 200);"><br></span></b></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span style="color: rgb(0, 117, 200);"><br></span></b></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span style="color: rgb(0, 117, 200);">====================================================================================</span></b></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span style="color: rgb(0, 117, 200);"><br></span></b></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span style="color: rgb(0, 117, 200);"><br></span></b></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span style="color: rgb(0, 117, 200);">                                                                                                                </span></b></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span style="color: rgb(0, 117, 200);">                                                                                                                       <br></span></b></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span style="color: rgb(0, 117, 200);">-- 개최 및 참석요청 공문은 </span><span style="color: rgb(0, 117, 200);">하단의 첨부파일을 참고</span><span style="color: rgb(0, 117, 200);">해주세요. --</span></b></span></p><p><br><b style="font-size: 16px;"></b></p><p><br></p><p><br></p><p style="text-align: center; " align="center"><span style="font-size: 36pt; color: rgb(0, 117, 200);"><a href="https://www.kreonet.net/notifications/post/event_ing?t=1741575177750" target="_self" style=""><b>>>>  행사등록  <<<</b></a></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r></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r></span></p><p><span style="font-size: 16px;">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서는 최신 네트워킹 및 미래 연구망 기술동향, 사용자 네트워크 활용 사례에 관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토론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실무자가 참여하는 '2025년 상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을 개최하오니 관계자께서는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r></span></p><p><br></p><p><br></p><p><span style="font-size: 16px;">가. 행사명 : 2025년 상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r></span></p><p><span style="font-size: 16px;">나. 일시 : 2025년 3월 27일(목) ~ 28일(금) (1박 2일)</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r></span></p><p><span style="font-size: 16px;">다. 장소 : 통영 스탠포드 리조트</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r></span></p><p><span style="font-size: 16px;">라. 참석대상 :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회원기관 실무자, 실무책임자, 실무자협의회 위원,</span></p><p><span style="font-size: 16px;">                발표자 및 KISTI 관계자, KREONET 수요기관</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r></span></p><p><span style="font-size: 16px;">마. 주제 : 최신 네트워킹 및 연구망 기술동향과 사용자 네트워크 활용사례 관련 주제발표 </span><span style="font-size: 16px;">및 토론 등 총 9건</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r></span></p><p><span style="font-size: 16px;">바. 등록 : 'KREONET 홈페이지 - 행사안내'에서 등록(3월 10일(월) ~ 20일(목))</span></p><p><span style="font-size: 16px;">            <a href="https://www.kreonet.net/notifications/post/event_ing?t=1741575177750">https://www.kreonet.net/notifications/post/event_ing?t=1741575177750</a></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r></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r></span></p><p><span style="font-size: 16px;"><img src="/fatt/editor/18ce0aab-a17c-41d5-a9f1-b948812a9ddc.jpg" alt=""><br style="clear:both;"> </span></p><p><span style="font-size: 16px;"><img src="/fatt/editor/65ae2747-355c-4de5-9632-32a4a3c11e50.jpg" alt=""><br style="clear:both;"> </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r></span></p><p><span style="font-size: 16px;"><br></span></p><p><span style="font-size: 12pt;"><b></b></span> </p>

보도자료

15
LEARN MORE
  • 20250221175218553.jpg KISTI, '국가데이터 교환노드' 수도권 거점노드 오픈 기념식 개최

    2024-12-18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수도권 거점노드 오프닝 기념식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지난 22일 안양 LG유플러스 평촌메가센터에서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수도권 거점노드 구축과 관련해 LG유플러스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오프닝 기념식을 개최했다.이번 기념식은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 2023년부터 추진 중인 국가데이터교환노드 구축 및 개발 사업의 일환이다.2023년 글로벌 데이터 교환을 위한 부산광역권 거점노드 구축에 이어 두 번째 거점노드인 수도권 거점노드가 구축된 엘지유플러스 평촌메가센터에서 진행됐다. 행사에서는 수도권 거점노드의 구축을 축하하며 KISTI와 LG유플러스간 지속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및 현판식이 진행됐다.업무협약은 KISTI의 국가데이터교환노드 사업의 인프라 구축 및 운영, 그리고 AI분야 협력 증진에 대한 상호 협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세부 협력 분야로 NDeX 수도권 거점노드 구축·운영을 위한 상면 및 초고성능 네트워크 인프라 협력, NDeX 노드를 통한 국내외 민간 클라우드사업자와의 연결 협력, AI인프라 및 AI플랫폼 솔루션 및 구축운영 협력, IDC설계/구축/운영 수요 발생시 협력, 기타 관심 사항에 대한 상호 협력 등을 포함하였다.KISTI는 국가데이터교환노드 사업을 통해 상용망과 연구망이 모두 참여하는 데이터 공유 및 전송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민·관의 다양한 주체가 서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이를 위해 2026년까지 3개 광역권 거점노드를 구축하여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초고성능컴퓨팅 공동활용 네트워크, 민간 클라우드 네트워크, 글로벌 과학연구데이터 허브 등 여러 종류의 데이터 네트워크 간을 직접 연동하여 대용량 공공·연구 데이터의 안전한 고속 전송 및 처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이혁로 KISTI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장은 “작년에 부산에 구축된 시범 거점노드와 이번에 새롭게 구축된 수도권 거점노드를 기반으로 국내외의 대규모 데이터 공급자 및 수요자 네트워크들을 서로 연결해 나갈 예정이며, 향후 국내외 연동망 구축과 민간 클라우드 연계를 위한 LG유플러스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전자신문 뉴스 전문보기] https://www.etnews.com/20241125000416관련기사 :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 원문으로 링크됩니다.)   과기정보연·LG유플러스 ‘국가데이터교환 수도권 거점노드’ 협약 (2024.11.25.)_뉴스1KISTI, 국가데이터교환노드 수도권 거점노드 업무협약 체결 (2024.11.25.)_금강일보KISTI, 국가데이터교환노드 수도권 거점노드 업무협약 (2024.11.25.)_충청뉴스KISTI, LG유플러스 평촌에 '국가데이터교환노드' 인프라 구축 (2024.11.25.)_지디넷코리아

  • 20250227175650109.jpg 과기정보연, 2∼4일 부산서 ‘KREONET 워크숍 2024’ 연다

    2024-12-16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새로운 도약 위한 비전 제시(대전=뉴스1) 김태진 기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2~4일 부산 해운대 한화리조트에서 '디지털 혁신과 과학 발견을 가속화하기 위한 테라 크레오넷을 넘어서'를 주제로 ‘KREONET Workshop 2024’를 개최한다.  KISTI는 이를 통해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비전을 제시하고 인공지능(AI) 시대 맞춤형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한 다양한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KREONET은 1988년 연구전산망으로 시작해 현재 테라급 국가과학기술연구망으로 성장,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이 초고속 네트워킹을 통해 연구데이터 공유를 통한 글로벌 연구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연구 인프라다.이번 워크숍은 AI, 빅데이터, 슈퍼컴퓨팅, 양자 등 디지털 혁명이 가속화하면서 국가의 미래 성장을 위해 기술 주도권 확보 경쟁이 치열한 시대에 연구개발(R&D)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KREONET의 현재를 살펴보고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데우스 류기훈 대표의 기조강연자로 나서 'AI 빅뱅으로 인한 데이터센터 글로벌 동향 및 대한민국의 산업활성화 전략'을 주제로 발표한다.이어 Rebellions 조부승 센터장은 'Trust & KREONE'을 통해 신뢰라는 자산을 기반으로 한 미래 KREONET 발전 전략을 공유한다.이 밖에도 참가자들은 패널토론을 통해 향후 AI 시대 KREONET의 대응 전략을 논의한다.또 AI 기반의 망운영 솔루션 및 자동화 기술, 차세대 무선연구망 기술,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 기술, 양자정보기술 등 최신 기술 동향 등을 다룬다.이식 KISTI 원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KREONET이 AI, 빅데이터와 융합해 새로운 과학적 발견은 물론 국가 사회 현안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국가 연구개발 생태계의 핵심 인프라로서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국가전략기술 혁신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memory4444444@news1.kr[뉴스1 기사 전문보기] 과기정보연, 2~4일 부산서 'KREONET 워크숍 2024' 연다.관련기사 :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 원문으로 링크됩니다.)   KISTI, KREONET 워크숍 2024 개최(2024.12.02.)_충청뉴스​KISTI, 4일까지 부산에서 KREONET 워크숍 2024 개최(2024.12.02.)_전자신문KISTI, 'AI 시대 맞춤형 연구 논의' KREONET 워크숍 2024 개최(2024.12.03.)_이코노미사이언스

  • 20250305095632689.jpg KISTI, 시에나 기술 활용 亞 최초 600G 연구망 구축

    2024-10-04

    전국 200곳 이상 교육 기관·산업체 연구소 및 실험실 간 초고속 연구망 구현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아시아 최초로 전국을 아우르는 600G 연구망을 성공적으로 출범시켰다.KISTI 연구망은 시에나 6500 플랫폼 기반 '웨이브로직5 익스트림(WL5e)' 800Gbps 프로그래머블 코히어런트 광기술을 탑재했다. 연구개발 분야와 디지털 혁신 분야에서 한국이 선도적 위치를 굳건히 하는데 한 축을 담당할 예정이다.시에나 로고KISTI는 최근 페타급 혹은 엑사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집약형 연구가 늘어나면서 회원 기관들이 수행하는 많은 연구 작업에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해졌다. 조부승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회원 기관간 초고속 국가과학연구기술망인 KREONET을 지원함으로써 국내 및 국제 협업 연구 환경을 구현하여 초고속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는 최첨단 과학기술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면서 “600G 연구망은 국내외 회원 기관이 필요로 하는 용량과 높은 대역폭 수요를 지원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이번에 구축한 연구망은 아시아 최초로 장거리 600G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구용 네트워크다. 시에나 6500 플랫폼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KISTI는 KREONET 회원 기관 및 영역별 최첨단 연구에 필요한 예측 불가능 네트워크 수요에 한 발 앞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게 됐다. KISTI는 시에나 WL 코히어런트 기술을 적용한 연구망을 통해 광 네트워크 성능 강화 및 전력 사용률 최적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김인성 시에나 북아시아 총괄 지사장은 “5G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출시한 것과 같이 한국은 디지털 혁신 분야의 리더”라면서 “연구원들이 더 혁신하고 동료들과 더 협업할 수 있도록 시에나는 WL 코히어런트 기술을 발전시켜 첨단 네트워크 인프라 역량 강화를 지속 돕겠다”라고 말했다.김정희 기자 jhakim@etnews.com [뉴스 전문보기] KISTI, 시에나 기술 활용 亞 최초 600G 연구망 구축 - 전자신문 (etnews.com)

  • 20250227175918206.jpg 과기정보연 "5G+ 과기 특화연구망 인프라 개발 중요"

    2024-01-17

    KISTI 이슈브리프 제65호 웹이미지.(KISTI 제공)/뉴스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5G+ 첨단무선망 기반의 과학기술 특화연구망 구축 동향과 발전 방안을 담은 'KISTI 이슈브리프(65호)'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5G+기반의 과학기술 특화연구망은 과학기술 연구 및 디지털 융합에 특화된 첨단 무선망 기반의 연구망으로, 기존의 국내외 과학기술연구망이 제공하는 첨단유선망 인프라와 통합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중심의 무선 접속망 인프라와 기술 및 서비스를 포함한다.디지털 대전환기에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AI)의 연계·융합을 위한 핵심기술인 5G 및 6G 기술이 경제 성장의 신서비스 원천으로 작용함에 따라 과학기술계를 위한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과학기술·디지털융합 서비스 및 핵심기술 개발 요구가 커지고 있다.증가하는 다양한 첨단 과학기술 무선 장치와 단말을 수용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출연연, 대학 등의 차세대 무선망 인프라 구축 수요가 증가하면서 과학기술계를 위한 전용의 첨단무선망 구축, 개발과 고도화 필요성이 강조된다.해외의 경우 미국과 유럽, 일본 등에서 국가적 과학기술디지털융합 프로젝트 및 첨단 기술 개발을 통해  5G 및 6G 인프라 구축과 연구개발, 서비스 제공을 추진하고 있다.국내 과학기술연구망 사용자들 역시 첨단무선망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상황이다.이에 KISTI는 과학기술연구망의 활용과 협력을 위한 첨단무선망 수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저비용, 경량화, 지능화 첨단무선망 구축·제공 측명을 고려해 5G+ 기반의 기술 개발 아이템을 도출한 후 첨단 과학기술 및 디지털융합 시범 서비스 계획을 수립했다.또 5G+ 과학기술 특화연구망의 개발 방향과 기대효과를 제안함으로써 '차세대 네트워크(6G)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선택과 집중','과학기술계 및 산업계의 디지털 전환 촉진', '저비용·초고속·저지연 특화연구망을 통한 공공적 파급효과' 측면의 논의를 촉진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김재수 KISTI 원장은 "국가적 대계인 디지털 전환의 완성을 위해 출연연, 대학, 산업체와 협력을 통한 5G+ 과학기술 특화연구망 인프라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뉴스전문보기] 이슈브리프 보고서 보기>>>  https://www.kisti.re.kr/post/issuebrief/6264?t=1705458305830 

  • KISTI, 2023 KREONET 워크숍 개최…테라급 연구망 시대 '개막'

    2023-11-2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원장 김재수)은 1~3일 사흘 간 제주에서 2023년도 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워크숍을 개최했다.2023년도 KREONET 워크숍 주제는 '디지털 전환과 사이언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테라급 국가연구망의 출범(Unveiling)'이다.테라급 국가연구망 구축과 핵심기술개발은 KISTI의 국가적인 미션을 달성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디지털 전환, 오픈 사이언스 중심의 대규모 데이터 공유, 활용, 촉진을 통한 국가 DNA 인프라 구축, 그리고 데이터와 디지털 기반 연구개발(R&D) 혁신을 선도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워크숍에서는 테라급 연구망을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 기반 미래융합기술, 유럽입자물리연구소 가속기 네트워크, 미래인터넷 아키텍처-SCION(사이언), 첨단광통신, 거대언어모델, AI 및 네트워크 자동화, 5G·6G, 양자센싱,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등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을 포함한 첨단 ICT 기술의 발표가 이뤄졌다.그리고 범국가적인 기초 및 응용과학, 교육, 문화예술, 의료, 첨단 IC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 네트워킹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과학적 발견, 즉 사이언스 디스커버리를 가능하게 하고자 다양한 산학연 전문가들의 논의가 진행됐다.특히 제주도는 이번 워크숍에 참여하여 국가과학기술혁신을 위해 테라급 연구망을 활용해 대한민국의 디지털대전환을 촉진할 수 있다.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주위성추적소와 국가위성통합운영센터, 한국천문연구원의 탐라전파망원경, 제주대학교 첨단연구와 한화시스템 우주센터까지 다양한 첨단과학기술협업연구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조부승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최근 거대과학분야의 대규모 데이터 전송 요구에 발맞추기 위해서 미래 수요에 대응하는 테라급 네트워킹 인프라 확충과 고도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거대과학연구를 촉진하고, 관련 연구자들과 주요 관측시설 및 실험장비의 연계와 협업 연구를 최적화된 기술과 환경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김재수 KISTI 원장은 “KISTI는 과학기술정보분야의 과학기술 데이터 최고 책임기관으로서 핵심 과학기술 인프라인 국가연구망을 세계적 수준으로 구축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테라급 연구망 인프라는 앞으로 국가적 미션인 데이터와 디지털 연구개발 혁신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전자신문 전문 보기] https://www.etnews.com/20231105000220관련기사 :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 원문으로 링크됩니다.)   KISTI, 2023 KREONET 워크숍 개최(2023.11.04)_BBS NEWSKISTI, 2023 크레오넷 워크숍 개최…"테라급 연구망 시대 개막"(2023.11.03.)_이뉴스투데이KISTI, 제주서 KREONET 워크숍 개최…'테라급' 연구망 시대 개막(2023.11.03.)_디지털데일리KISTI, 2023 KREONET 워크숍 개최(2023.11.03.)_충청뉴스과기정보연, 과학기술연구망 워크숍...테라급 연구망 시대 개막 선언(2023.11.03.)_news1

첨단연구지원

  • 첨단연구지원

    고에너지물리

    우주 근원 에너지 분석 연구

    • 대형 강입자 가속기에서 새로운 대칭성 탐사
    • 강입자 충돌, 경입자 충돌, 우주배경복사 입자물리학 연구
    • 격자 게이지 이론 연구단 Lattice Gauge Theory Center
    • + 외 12개의 연구결과
  • 첨단연구지원

    천체우주

    차세대 우주 거대구조 및 천문 관측 연구

    • 국내외 초장기선 전파간섭계를 이용한 우주 초미세구조 연구
    • 외계행성 탐색시스템 운영
    • 은하 생성 및 진화 연구를 위한 우주론적 수치모의실험
    • + 외 5개의 연구결과
  • 첨단연구지원

    게놈바이오

    미래를 대비하는 생명 유전체 연구

    • 강북삼성코호트를 통한 건강한 성인의 유전체 데이터 구축
    • 국제 컨소시움을 통한 여러 암종별 인간 전장 유전체 데이터 분석
    • 첨단연구망 활용을 통한 WGS 대용량 데이터 기반 만성질환 유전자 발굴
    • + 외 10개의 연구결과
  • 첨단연구지원

    첨단의료

    우수 의료진 육성 및 의료기기와 의료자원의 활용 확대

    • 초고속연구망을 이용한 핵의학영상 및 분자영상 연구
    • 실시간 협업중심형 논리망 활용 연구 모델 개발
    • KREONET을 이용한 의생명연구자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 KREONET을 이용한 보건의료 연구성과 확산
  • 첨단연구지원

    기상기후

    기후예측과 기상 예보의 정확성 향상

    • 정확·신속한 KBS 재난방송 구현
    • 양방향 둥지격자 기법을 활용한 한반도 계절예보 상세화 연구
    • 재난유형별 의사결정지원 서비스
    • + 외 2개의 연구결과
  • 첨단연구지원

    원격교육

    화면을 통한 쌍방향 적인 교육 인프라 지원

    • 공학 연구·교육의 실시간 공유 및 고도화를 위한 사이버 융합연구교육 시스템 활용
  • 첨단연구지원

    건설건축 실험

    토목, 건축분야의 최신기술 데이터 공유

    • 국토교통 연구인프라를 활용한 토목, 건축분야 실험 및 연구
  • 첨단연구지원

    미래 네트워크

    새로운 형태의 차세대 인터넷 기술 연구

    • SDN 환경에서 IoT 단말의 이동성 관리 방안 연구
    • 첨단망을 활용한 대용량 네트워크 트래픽의 실시간 빅데이터 통합 분석
    • K-ONE:SDN/NFV/Cloud 통합 차세대 네트워킹 공개소프트웨어 개발
    • + 외 3개의 연구결과
  • 첨단연구지원

    슈퍼컴퓨팅 자원공동활용

    슈퍼컴퓨팅자원들의 연동과 기술협력체계를 구축

    • 멀티캠퍼스 환경에서의 고성능컴퓨팅 자원 활용 효율화
    • 한국형수치예보 모델에 대한 학·연 연계 모델 진단
  • 첨단연구지원

    빅데이터

    대용량데이터와 미래기술의 융합

    • 국가 간 공존감 지원 실감교류 확장공간 서비스 시범 구현에 관한 연구
READ MORE

첨단연구지원은 우수한 첨단연구 및 글로벌 협업연구기관을 선정하여 도전적 모험연구 및 다학제적 연구지원 강화 핵심연구 및 국가과학자 육성과 미래 환경 변화와 글로벌 메가트랜드에 대응이 가능한 국내의 특성에 맞는 네트워킹환경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TERA KREONET for Accellerat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Science Discovery

1988년 국내 최초,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한 IT 강국의 초석 KREONET!

READ MORE
  • 196기관

    KREONET 활용 기관(`25.01)

  • 18개 지역

    전국 지역망센터

  • 5개 지역

    국제 PoP

  • 36,000

    글로벌 네트워크

  • 344,576

    KREONET 활용 사용자(IPv4 기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