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초고성능 국가 데이터 네트워크, KREONET

총 게시글 300 RSS
  • [공지] [행사안내] 2025년도 하반기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 2025. 06. 18 View. 219

    안녕하십니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입니다. '2025년도 하반기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의 개최를 안내드립니다. 본 행사는 2025년 7월 7일(월) ~ 8일(화),  홍천 비발디파크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이번 행사는 목~금이 아닌 월~화 개최입니다. 착오없으시기 바랍니다!) 행사 등록은 6월 25일(수)부터  7월 2일(수)까지 KREONET 홈페이지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행사 등록 링크는 행사등록이 시작되면 링크하겠습니다.) KREONET 회원기관 여러분들의 많은 참석을 요청 드립니다. ※ 공문은 위 링크의 첨부파일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6월 25일 오후부터)

  • [행사안내] AI네트워크포럼 표준워크숍 2025. 06. 13 View. 141

    [AI네트워크포럼 표준워크숍]   일시: 2025. 7. 2.(수) 장소: 양재AT센터 4층 창조룸II 등록: https://www.manuscriptlink.com/society/ainet/event/ainetws25

  • GlobusWorld2025 참석 후기 2025. 06. 13 View. 227

    2025년 4월 21일부터 24일까지 4일간 미국 시카고에서 GlobusWorld 2025(https://www.globusworld.org/conf/) 컨퍼런스가 개최되었다. GlobusWorld는 매년 상반기에 개최되는 Globus 기술 컨퍼런스로서, 금년에는 북미/유럽/한국에서 약 100여 명의 주요 연구기관/대학 소속의 시스템 엔지니어, 개발자, 응용 연구자들이 참석하였다. 본 행사에서는 Opening Keynote 세션, 기술 세션, 튜토리얼 세션 및 가입기관 포럼 등에서 Globus online 서비스의 활용 사례, 신규 업데이트되는 기술 및 향후 서비스의 방향성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되었다. Opening Keynote 세션에서는 Globus Exeive Director인 Rachana Ananthakrishnan가 지난 한 해 동안 Globus 서비스의 주요 활용 사례, 향후 Globus 방향성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해 발표했다. 일례로 SC24 행사에서 미국 샌디에고에 위치한 DIII-D 플라즈마 운영과 관련하여 IRI(Integrated Research Infrastructure) 프로그램 하에서 NERSC/ALCF/ESnet 등이 연계하여 Globus 데이터 전송 및 Orchestrated HPC Compute를 기반으로 SC ecosystem을 제공한 사례를 공유하였다.  기술 세션에서는 과학장비 데이터 처리 자동화, 클라우드 스토리지 접근성 강화, Science Gateway 개발 및 운영 경험 등등에 대한 주요 가입 기관들의 Globus 활용 사례들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영국의 Rosalind Franklin Institute에서는 고해상도 Multimodal 생물정보 데이터를 실험 장비로부터 분석 플랫폼으로 안정적으로 전송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자동화된 파이프라인의 구현에 대해 소개했고,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는 AWS에 Globus Connect Server를 구현하여 On-premise 스토리지로부터 AWS S3에 연구 데이터 아카이브를 마이그레이션하는 과정을 발표했다. NCAR(미국 국립대기과학연구소)에서는 연구 데이터 아카이브 서비스인 RDA(https://rda.ucar.edu/)을 Globus를 활용하여 구축하고 운영한 경험을 공유하였다. 이번 행사 참여를 통해 Globus 핵심 관계자들과 KISTI/KREONET 도메인 내의 주요 엔드포인트/컬렉션들의 현황 및 사용 패턴들에 대해 공유하였고, 지속적인 운영 및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서는 비정기적인 국내외 엔드포인트/컬렉션들과의 송수신 외에 KISTI/KREONET 도메인 내에서의 과학대형 장비 등에 기반한 Killer 활용 사례 발굴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Globus 측에서는 Globus Compute에서의 Multi-user 지원, 데이터 스트리밍 지원 계획, Globus Flow 작성 지원을 위한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제공 등 신규 기능들에 대한 활성화를 끊임없이 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들은 Globus Connect 엔드포인트/컬렉션을 제한적으로 이용하는 KISTI/KREONET 도메인에서도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기술 습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아세안 10개국 대상 HPC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킥오프 미팅 개최 및 사업 본격 추진 2025. 06. 13 View. 23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지난 5월 13일, KISTI 국제회의실에서 아세안 10개국의 고성능컴퓨팅(HPC)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지원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의 출범을 알리는 킥오프(KICK-OFF) 미팅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KISTI 내부의 HPC 전문가, 운영 전문가, 연구망 네트워크 전문가, NTIS 전문가, 과학 데이터 교육 전문가 등이 참석하여 프로젝트의 목표와 추진 일정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본 프로젝트는 한-아세안 협력기금(AKCF)으로부터 총 1,000만 달러를 지원받아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진행된다. KISTI는 이번 사업을 통해 풍부한 HPC 전문성과 네트워크 기술력을 활용하여 아세안 국가들의 연구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과학기술 혁신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HPC 시스템 및 인프라 구축 △과학기술지식정보시스템(NTIS) 보급 △AI 및 HPC 활용 연수 교육 등 세 가지 핵심 분야로 나뉜다. HPC 인프라 구축: 약 600만 달러를 투입해 아세안 국가에서 공동 활용할 수 있는 3.5TFlops규모 GPU기반 HPC 시스템을 구축하여 연구 개발을 지원한다. NTIS 보급: KISTI의 NTIS를 아세안 지역에 제공하여 국가 간 과학기술 연구 협력을 활성화한다. 전문가 양성: AI 및 HPC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연간 40명씩, 총 160명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본 사업책임자인 김승해 박사는 "KISTI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상반기 내 HPC 시스템 인프라 도입을 위한 제안 요청을 시작하고, 올해 말까지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라며 "2025년 초 인도네시아 BRIN 데이터센터에서 본격적으로 운영 및 서비스를 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사업은 아세안 10개국이 공동 활용하는  HPC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국제 연구망 협력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과학기술연구망센터가 이 부분을 주도할 예정이다.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본 사업을 통해 향후 한-아세안 국가 간 과학기술 협력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아세안 지역의 AI와 HPC 기술 발전을 위한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 대덕특구 실증사업,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적용한 원격제어 자율주행 실증", ... 2025. 06. 13 View. 226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올해 5월부터 내년까지 약 2년 간 대덕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의 지역혁신 실증 스케일업 사업에 참여하여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적용한 원격제어 자율주행 실증"을 추진한다. 이번 실증 사업은 KISTI 연구소기업인 트렌토 시스템즈를 주관 사업자로 하여 KISTI와 KAIST가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최근 가파르게 진행되는 C.A.S.E (Connected, Autonomous, Shared, Electric) 중심 모빌리티 시장 변화와 더불어 로봇,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모빌리티 응용 서비스 요구에 실시간 대응할 수 있는 종단간 프로그래밍 가능한 모빌리티 전용 통신 네트워크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이를 위해 산학연 참여 기관인 KISTI와 KAIST 및 트렌토 시스템즈는 지난 5월 13일에 내포 신도시에 위치한 KAIST 모빌리티 연구소에서 공동으로 Kick-off 미팅을 개최하고 실증 사업을 공식적으로 출범하는 한편, 협력 기관 간 연구개발 역할과 추진 계획 등을 상호 협의했다. 향후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본 사업을 통해서 SDN 기반의 저지연 광역연구망 구현과 실증, 첨단 무선통신 사설망간 가상화 페더레이션 기술 개발, 60GHz 밀리미터파 통신망 성능 측정 및 분석 연구, 클라우드 중심 에지 네트워크 설계와 구축 연구 등을 수행하고자 하며 최종적으로 클라우드 로봇의 실시간 제어 기술과 자율주행차 기반 초저지연 원격제어 기술의 개발과 실증에 기여할 계획이다.   

  • KAFE 소프트웨어, 이제 Docker로 더 쉽게! 2025. 06. 13 View. 215

    2025년 하반기부터 KAFE 아이디제공자 소프트웨어가 Docker 컨테이너 형태로도 제공된다. 이번 변화를 통해 회원기관은 더 빠르게 아이디제공자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FE는 2016년부터 현재까지 회원 기관에 아이디제공자 소프트웨어를 패키지 형태로 제공해왔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패키지 방식은 아이디제공자 설치와 환경 구성이 복잡하고, 특히 특정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만 동작하여 각 기관의 서버 관리 환경과 맞지 않거나 관리 포인트가 증가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었다. 새롭게 배포될 Docker 컨테이너에는 KAFE 아이디제공자 소프트웨어와 서버 구동에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들이 통합되어 있다. 환경설정에 필요한 파일들만 호스트 서버에서 관리하면 되므로, 기존 설치 방식보다 빠른 아이디제공자 구축과 환경 설정이 가능하다. 특히 컨테이너에는 LDAP/AD, MySQL/MariaDB, Oracle 등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가 기본 탑재되어 있다. Tibero 등 일부 데이터베이스는 검증 환경의 부재로 인해 이번 배포판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향후 내장 클라이언트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HTTPS 인증서 지원 측면에서도 유연성을 높였다. 웹 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이 분리된 환경이나 통합된 환경을 모두 지원하므로, 각 기관의 서버 운영 환경에 맞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모든 기능이 컨테이너화된 것은 아니다. 아이디제공자와 기관 내부 사용자 계정 DB를 연동하는 인터페이스는 컨테이너화가 쉽지 않아 여전히 수동으로 코딩해야 한다. 또한 기관 내부의 CI/CD 환경은 별도로 지원하지 않으므로, 회원 기관은 배포되는 컨테이너를 활용하여 CI/CD 환경을 자체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Docker 컨테이너와 관련된 문의나 기술지원은 연구망 사무국 또는 support@kafe.or.kr를 통해 받을 수 있다.

  • [안내] KREONET 실무자와 함께하는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와 AIOps 세미나 2025. 06. 05 View. 453

    >>> 등록하러가기 <<<   KTC(실무협) Cloud & Data center Working Group 활동의 일환으로 아래와 같은 세미나를 추진하려 합니다. 세미나명 : KREONET 실무자와 함께하는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와 AIOps 세미나 목적 : 본 세미나는 과학기술연구망 가입기관 실무자에게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와 AI 기반 자동화 기술(AIOps) 주제로 차세대 네트워크 운영 패러다임을 공유하고 AI 시대의 네트워킹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려고 함. 일시 : 2025. 6. 18. 13:00 ~ 17:30 장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원 강당(본관) 참석자 :  KREONET 실무자 중 관심 있는 사용자  참가등록 : 2025년 6월 9일(월) ~ 12일(목)              KREONET 홈페이지 - 알림마당 - 행사안내 - 진행중인 행사              https://www.kreonet.net/notifications/post/event_ing?t=1749110681016 발표자료 : KISTI 기술세미나 | Box 지원 참석요청 공문은 하단의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세요!

  • [안내] 제33차 KRnet 2025 (The 33rd Korea Internet Conf... 2025. 05. 26 View. 696

    - 행사명 : KRnet 2025 (The 33rd Korea Internet Conference) - 일  자 : 2024. 6. 23(월) ~ 24(화) - 장  소 : 서울 엘타워(5층, 6층, 2층) - 주  관 : KCA, ETRI, TTA, KISA, KISTI, OSIA, NIPA, IITP, NIA - 후  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 사전등록 바로가기 >> https://krnet.or.kr/include/subPage.php?pageID=ID12832167621

  • [안내] KREONET 6월 Network 무료 교육 안내 2025. 05. 20 View. 346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다가오는 6월 연구망과 관련하여 Network 분야에 대한 교육을 '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를 통해 무료로 실시할 예정입니다. 6월 16일(월)~20일(금)까지 KISTI 본원(대전)에서 실시하며 1)과학기술연구망의 이해  2)대용량 데이터 전송 기술의 이해 및 실습  3)양자암호통신  4)통합로그인 기술의 이해와 활용의 주제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본 교육의 일정표를 첨부드리며 관련 내용 및 신청은 아래 링크로 확인 부탁드립니다. https://kacademy.kisti.re.kr/main.do?dspMenuId=&dspLinkMenuId=&_csrf=96d54de1-0538-4acb-a143-b37658ae228a

  •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 NetSec-KR 2025서 세계 수준 연구망 성과 소개 2025. 05. 20 View. 534

    – 거대과학 연구를 뒷받침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기술력 주목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지난 4월 17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NetSec-KR 2025에 참가해, 세계적 수준의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인프라와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활용 성과를 선보였다.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이번 전시에서 고속·고신뢰 네트워크 서비스를 바탕으로 한 연구 성과를 소개했으며, 특히 우주, 기후, 생명과학 등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필수적인 거대과학 분야에서의 활용 사례를 통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실시간 시뮬레이션, 대형 실험 장비와의 연동, 글로벌 데이터 공유 등 실제 연구 현장에서의 적용 사례는 KREONET의 실질적 가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성과로 평가받았다. 또한, 융합연구와 대형 실험 환경에 최적화된 연구망 운영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 확대 가능성도 제시했다. 특히 KISTI는 현재 G&Eae;ANT(유럽), ESnet(미국) 등 해외 주요 연구망과의 연계를 통해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내 연구자들이 세계 연구 환경과 실시간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인프라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이와 같은 국제적 연계는 미래 과학기술 연구 경쟁력 확보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이번 NetSec-KR 2025 참가를 계기로, 연구자 중심의 초고속·초연결 네트워크 환경을 더욱 강화하고, 국내 거대과학 및 융합연구의 디지털 기반 인프라로서 KREONET의 역할을 계속해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

Back to Top